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추세로 커왔는지 앞으로 얼마나 클지 가늠할 수도 있고, 자전거의 가속 그래프를 그려 다음 순간에 속도가 빨라질지 느려질지 예측할 수도 있다. 심지어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감기에 걸렸을 때 날짜에 따른 증상의 심화 정도를 ‘감기 그래프’로 그리기도 했다.별거 아닌 것 같지만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정된 공간에서는 벽과 바닥에 붙은 QR코드를 로봇이 읽어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어요. 다음 단계는 QR코드가 없는 낯선 환경에서도 길을 찾도록 하는 것일 텐데, 이 기술은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어요. 그렇지만 자동차도 처음엔 비싸고 불편해서 사람들이 꺼려하다 결국 널리 퍼진 것처럼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매우 기쁘지만, 수상 사실에 기뻐서 들떠 있을 겨를이 없습니다. 현재 제 관심사는 다음 연구로 뭘 할지 결정하는 것이랍니다. Q. 생물학 연구자의 길을 선택한 계기가 있습니까?고등학교 때 정말 좋은 생물 선생님을 만났습니다. 당시 그는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 ...
- [수학뉴스] 무작위한 수 사이에도 규칙 있다수학동아 l2020년 01호
- 7, 9라는 수열에서 다음으로 올 수는 무엇일까요? 나열된 수의 간격이 2인 등차수열이므로 다음은 11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1부터 10 사이의 수 중에서 임의로 3개를 뽑아보세요. 이렇게 특정한 기준 없이 뽑은 수 사이에서는 규칙을 찾기 힘들어 보입니다. 하지만 무작위하게 뽑았어도 ... ...
- 도시를 바꾸다! 환경을 생각한 똑똑한 도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노력해도 기후변화를 완벽하게 막을 수 없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하고 실의에 빠져 여행을 하고 있는데, 내 눈을 사로잡는 멋진 도시를 발견했어! 공기부터 다른 친 ... 구하기 위해 계속 모험을 떠날 거야. 어떤 위험이 따르더라도 난 동물들과 함께할 거니까. 다음엔 또 어디를 가볼까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윷을 던져야 해!업을까? 잡을까? 오호, 역시 윷을 던졌더니 계획대로 걸이 나왔군! 그럼 다음 고민은 우리 말을 업을 것이냐, 아님 상대편 말을 잡을 것이냐겠지. 굉장히 고민이 되는 상황이야. 이 고민을 말끔히 해결해줄 연구 결과가 있어. 김범준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같은 실험을 ... ...
- [통합과학교과서] 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집에도 보일러가 설치됐어요. 이제 놀부도 평화롭게 겨울을 보낼 수 있겠죠? 하지만 다음 날, 놀부 부부가 씩씩거리며 꿀록 탐정 사무실을 다시 찾아왔어요! 그런데 부부의 머리가 라면처럼 꼬불꼬불하네요? 꿀록은 우스꽝스러운 모습에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죠. “큭큭…, 어떻게 된 일이죠…? ... ...
- [포토뉴스] 상관관계가 보이는 수학 그림의 모습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총기 기사의 빈도수와 판매량을 수학적으로 재가공해 각각 그림으로 나타낸 겁니다. 다음 달과 비교했을 때 빈도수가 높다면 빨간색, 적다면 파란색으로 나타냈습니다. 그러자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기사와 판매량에서 모두 파란색 선이 나타났는데요, 5월부터 9월까지 계속해서 기사 수가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에 구멍이 났다면?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거죠. 때문에 작년에 수학 공부를 소홀히 했다면 올해는 반드시 그 구멍을 메꾸고 가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지금 배우는 수학을 따라가기도 바쁜데 작년 수학 공부를 차근차근 할 시간이 있을까요? 이번 달은 이런 어려움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질소탱크 속에 꽁꽁 얼어 있어요. 그러다가 인간이 필요할 때 꺼내서 해동을 시키죠. 그 다음은 가임신 상태(임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호르몬의 변화를 유도한 상태)의 대리모에 착상시켜 키웁니다. 그리고 3주 뒤면 짜잔, 어린 친구가 태어나죠. 그럴 때마다 제 새끼가 태어난 것처럼 기쁘답니다. 저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