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기본
짜임새
밑바탕
근본
본성
배경
d라이브러리
"
바탕
"(으)로 총 3,3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물방울에 색을 내기 위해 카메라 플래시에 색깔 있는 셀로판지를 대었다. 투명한 물
바탕
에서 알록달록한 물방울이 튀어 오르는 모습은 신기했다. 그야말로 빛의 마법이었다. 그는 색소를 직접 떨어뜨리기도 했다. 조명에 셀로판지를 대는 것보다 색이 훨씬 진하게 나타났다. 색이 다른 색소를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내세우는 “기저전력화(언제나 일정한 전기를 생산함)에 유리하다”는 장점은 바로 이런
바탕
에서 가능했다.하지만 대형 원전은 한계가 많다. 우선 작은 나라나 도시에 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많다. 입지도 자유롭지 않다. 오늘날 많이 사용하는 원전은 물을 냉각재와 감속재로 이용하는 수형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문제와 어려운 문제를 다시 분류하고 있다. 사람이 느끼는 정도가 아니라 정보이론을
바탕
으로 판단한다. 새로운 기준에 따르면 수학과 체스는 입력신호의 조합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쉬운 문제다. 규칙과 기호를 통해 문제를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컴퓨터가 잘하는 분야다. 반면에 사람이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남녀의 몸집 차이 역시 고릴라보다는 작지만 현대인보다는 큽니다. 이런 특징을
바탕
으로 추정해 보면, 아파렌시스는 현생인류도 아니고 고릴라도 아닌, 색다른 형태의 남녀관계를 보였을 것입니다.2010년에는 ‘사이언스’에 아파렌시스보다 이전 인류인 ‘아르디피테쿠스라미두스’에 대한 ... ...
경험하라. 학교가 기회를 줄 테니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명문이다.유네스코 협동학교, 다양한 경험이 재산이다꿈은 자신의 경험이나 지식을
바탕
으로 정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청소년기에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다. 이 때문에 진로를 잘못 정하거나 아예 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경험은 대입에서도 유용하게 쓸 수 있지만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요즘 한국인의 나이로 치면 약 40세 정도라고 할까.한스 베테가 중력과 양자역학을
바탕
으로 이 모든 것을 알아냈을 때 그는 사람의 눈에 보이는 모든 빛의 근원을 밝힌 것이다. 바로 지금 창밖을 보라. 밝은 햇살이 비치는가. 베테는 그 이유를 안다. 어두운 밤하늘이 내려앉았나. 베테가 그 이유를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분화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생물학이나 의학에서 가치가 높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
으로 만들어질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손상된 조직이나 기관을 복원할 수 있다. 환자의 세포를 복제하면 면역 거부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무한정 ... ...
[교과연계수업] 오늘이 화이트데이? 운명의 짝을 만날 확률은?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1961년에 고안했다. 드레이크 방정식의 답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외계인 연구의 밑
바탕
이 되고 있다. 배커스는 드레이크 방정식의 각 변수를 자신의 이상형과 관련된 여성의 수와 비율로 바꾸었다. 예를 들면 통신이 가능한 외계인의 수를 운명의 상대가 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수로, 행성에서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것이다. 일본 이화학연구소 연구팀은 지난해 기존의 해부학과 전자생리학 연구 자료를
바탕
으로 시각피질 회로를 본따 만든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다.슈퍼컴퓨터 안에 가상의 뇌, 즉 인공 뇌를 만들면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해진다. 마크람 박사는 “새로운 신경전달 물질이나 의약품이 뇌에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천체의 죽음에 숨겨진 이야기를 연구하는 중이다. 우선 가장 잘 보이는 토성 고리를
바탕
으로 행성 고리가 어떻게 생겼는지 가설을 세우고, 용의자를 찾기 위해 수사에 나섰다.가설1. 행성 고리는 행성을 만들고 남은 부스러기다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질 때 태양을 중심으로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큰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