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수학에 흥미가 없는데도 암기식으로 억지로 공부해서 성적이 높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셈
이다.김명환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양이 줄고 내용이 쉬워진다고 수학이 재미있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더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수학의 재미와 유용성을 스스로 느낄 수 있는 교육 방식을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증인인
셈
이다. 그러니 누가 알겠는가. 곧 획기적인 해결법이 등장해 토네이도의 이동 경로는 물론, 세상 모든 변화하는 것들을 속속들이 예측할 수 있게 될지. 편미분방정식의 앞으로 100년이 기대되는 이유다 ... ...
[과학뉴스] “나는 여성 엔지니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여성 엔지니어들이 뿔났다. 발단은 지난 7월 미국의 보안기술 스타트업인 ‘원로그인’에서 플랫폼 엔지니어인 이시스 웽거가 회사의 구인광고 모델로 나선 것이었다. 광고를 ... “이런 관심을 기술 분야에서 벌어지는 성차별 문제를 제기하는 데 활용한다면 성공한
셈
”이라고 말했다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것도 종 전체로 보면 이득일 수 있다. 적대적인 경쟁이 아니라 일종의 ‘공진화’를 한
셈
이다. 또한 성 갈등은 생식계통을 변화시켜 종 분화를 이끄는 원동력이 됐을 수도 있다. 논문의 말미엔 이런 구절이 적혀있다. “성 갈등이 진화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우린 아직 모른다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생각하면 원자 주변의 전자는 야구장에서 10km정도 떨어진 서울 시청쯤에 있는
셈
이다. 잠실에 있는 야구공 하나와 시청쯤에 멀찍이 떨어져 있는, 마치 점처럼 크기가 0인 전자 사이의 공간은 아무것도 없는 진공상태다. 이처럼 원자는 말 그대로 텅텅 비어있다. 그럼에도 왼손과 오른손이 서로를 뚫고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예상치 않게 연어와 잘 어울리는 소스를 내놓음으로써 요리 맛을 한층 더 향상시킨
셈
이다.이런 가짜 캐비어 알은 미역이나 다시마, 톳 같은 갈조류에 들어 있는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다. 알긴산나트륨과 칼슘이 만나면 투명한 젤라틴 막이 생기면서 고체가 된다. 분자요리 연구자들은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유전되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인간이 DNA를 스스로 조정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진
셈
이다. DNA로부터 탈출한 당신에게 후성유전학이 묻는다. 어떻게 살 것인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계절이 오면 그제야 생식세포와 생식기관을 준비한다. 어찌 보면 동물보다 더 효율적인
셈
이다.이 변화는 보통 세포의 일부가 생식세포로 바뀌면서 이뤄진다. 식물은 어떻게 이런 가소성을 가질까. 환경이나 발달 단계에 따라 같은 유전정보를 다르게 사용하는 ‘사용법’이 결정한다. 꽃이 필 때를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봤지만 쿡방에 나오는 그릇이나 냄비, 음식을 담는 양과 위치가 철저한 계산이었던
셈
이다. 남 대표는 “특히 그릇과 음식의 색깔 조화가 중요하다”며 “그릇에 음식을 담았을 때 3가지 이상의 색이 들어있지 않아야 한다. 잘 모르겠으면 흰 접시를 고른다” 같은 ‘꿀팁’들을 일러 줬다.실제로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전조가 되는 장면이 실험 속 ‘흰쥐’고, 귀신의 등장이 왓슨이 냈던 ‘쾅!’ 소리인
셈
이다.실제로 그런지 확인해 보고자 지난 7월 7일 김성필 UNIST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의 연구실에서 직접 뇌파 실험을 해봤다. 피실험자에게 공포영화 속에서 실제로 귀신이 등장하는 장면과 전조가 되는 장면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