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알갱이로 감광제를 깎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조각칼로 나무판을 강하게 2번 깎으면, 약하게 30번 깎는 것보다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된다. 이와 같이 EUV로 깎은 감광제 표면은 울퉁불퉁해지기도 더 쉽다. 심할 경우 불량품으로 처리된다. EUV를 만드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일부만 새로 자라난다. 운이 좋아 금세 자라날 수도 있지만 깃이 언제 돋아날 지 기약할 수 없다. 수리부엉이는 꼼짝없이 깃이 돋아나길 기다리며 구조센터에 머물게 됐다. 인위적인 공간에서 깃을 기다리다 야생성을 잃어버리지 않길 바랄 뿐이다 ... ...
- 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전류를 발생시킨다. 리튬이온은 이온 1개가 전자 1개를 이동시킬 수 있는 1가 이온이다. 만약 전자 2~3개를 이동시키는 다가 이온 소재를 사용한다면 이론상 에너지 밀도를 2~3배 높일 수 있다. 다가 이온 배터리는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적절한 양극재, 음극재 등은 이제 막 연구가 시작됐다.지난해 ... ...
- [특집] 시원한 음료, 오래 즐기자! 맛있는 얼음의 비밀은 겉넓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물 200㎖로 얼음을 만들 때 정육면체 얼음의 겉넓이는 약 205.2㎠이고, 구 얼음의 겉넓이는 약 165.4㎠예요. 정육면체 얼음보다 구 얼음이 겉넓이가 작아 더 천천히 녹아요. 물론 빨리 녹는 얼음이 필요할 때도 있어요. 빨리 녹는 만큼 온도를 빨리 떨어뜨리거든요. 수산물을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한 ... ...
- [이달의 과학사] 1932년 4월 4일 괴혈병을 막는 비타민 C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못하거든요.1932년 4월 4일, 찰스 글렌 킹이 헥수론산이 비타민 C라는 사실을 확인합니다. 약 2주 정도 뒤 얼베르트 센트죄르지도 같은 내용을 발표하지요. 누가 비타민 C를 최초로 발견했느냐를 두고 두 과학자가 다퉜지만, 오랫동안 헥수론산을 연구한 얼베르트 센트죄르지에게 공이 돌아갔어요. 그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나만의 룰렛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주사위 세 개 를 던졌을 때, 주사위 눈의 합이 10이 나올 확률이 9가 나올 확률보다 약 0.93% 더 높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했어요. 주사위 게 임에서 이기기 위해 확 률을 수학적으로 연구 하기 시작한 거예요! 그때부터 이어진 수학 자들의 연구를 통해 지금의 확률과 통계 이론의 바탕이 마련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 탄소, 인공지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등록 번호’를 매겨 관 리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등록된 1억 5000만여 종 중 탄소 화합물이 약 90%를 차지할 정도지요.다이아몬드와 숯은 탄소로 이뤄진 대표적인 물질 이에요. 둘은 탄소 한 종류로만 이뤄져 있으나 원자 배열이 다른 물질인 동소체지요. 이 사실은 1772년 프 랑스 화학자 라부아지에에 ... ...
- [매스미디어] 라켓소년단의 1승의 비결은 경우의 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하겠다는 생각만 했는데, 그것도 잠시. 해강의 생각과는 다르게 일이 흘러갑니다.바로 약 10년 전 전국을 휩쓸었던 명문 배드민턴부지만, 지금은 전국 꼴찌에 부원 수도 적어 단체전에 나가지 못하는 해남서중 배드민턴부를 만나게 된 것이죠. 단체전에 나가기 위해 딱 한 명이 더 필요했던 현종은 ...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군사분계선을 넘는다. 임진강은 경기 연천에서 한탄강과 만난다. 한탄강 유역에서는 약 54만~12만 년 전에 화산폭발이 일어나 용암이 빚어낸 화산 지형이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형성돼 있다. 특히 한탄강과 임진강의 합류 지점으로부터 임진강 상류로 거슬러 수km에 걸쳐 발달해 있는 주상절리는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하구 퇴적 지형에 위치한 루이지애나주는 해수면 상승과 시추에 의한 침강 등으로 1년에 약 44km2씩 토지가 유실되고 있다”며 “강의 회복력이 충분히 높다면 강을 따라 내려오는 퇴적물이 유실된 부분을 메울 수 있겠지만, 미시시피강은 산업이 발전하며 댐이 여러 개 생겼고, 그 결과 퇴적물이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