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
승용차
카
차량
오토모빌
탈것
수레
d라이브러리
"
자동차
"(으)로 총 3,131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 사용설명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한다. 하지만 도시에서도 국도와
자동차
전용도로표지는 바탕이 녹색이다. 지방에서
자동차
전용도로표지는 오히려 청색이다. 표지판 속 수학도로에는 길을 안내하는 도로표지 외에도 수많은 표지가 있다. 이 중 교통흐름과 안전을 지키는 고마운 표지가 있으니 바로 교통안전표지다. 쓰임새에 따라 ... ...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KAIST를 찾은 이유 역시 운전을 할 수 없는 장애인도 어디든지 타고 갈 수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
’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에서였다.하지만 이런 생각은 대학원에 들어와서 크게 바뀌었다. 어릴 적 꿈보다 더 큰 세상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었다. 로봇 기술을 공부하면 자신처럼 몸이 불편한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동차
산업 발전의 초석을 다듬는다는 측면에서 F1 개최는 의미가 매우 크다. 국산
자동차
의 위상이 많이 높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은 시스템적인 원천 기술이 오로지 우리의 것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분명히 F1은 우리만의 원천 기술을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각지대’ 때문이다. ‘사각지대’는 운전석에서 안 보이는 차의 앞과 뒷부분으로,
자동차
의 거울로도 전혀 보이지 않아 운전자는 어린이가 있다는 것을 모른 채 차를 움직일 수 있다. ‘어린이’니까!어린이는 어른보다 시야가 좁다. 어른은 150°를 볼 수 있지만 어린이는 90°를 벗어난 쪽을 ... ...
큰 소리의 대결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현장에 도착하는 비율은 소방차가 62.6%, 구급차는 32.3%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에서 긴급
자동차
가 현장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8분이 넘는다. * Hz(헤르츠) : 음파와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진동 현상이 1초 동안 일어난 횟수.소리로 아는 위험“에에~~~엥” 하늘을 울리는 사이렌 소리가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카사바에서 바이오연료를 얻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일본의
자동차
회사 도요타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 ‘도요타 바이오’를 설립하고 일찌감치 고효율 산업용 카사바 연구를 시작했다. 10여 년 전부터 매년 25만t의 카사바를 생산하고 있다.국내에서는 비식용 바이오에너지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각각 유전자 돌연변이를 시킨 생쥐를 이용한 실험과정의 설계와 결과를 물어봤다.
자동차
의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과 호르몬 항상성의 차이점, 그리고 단백질 호르몬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신호전달방식의 차이점도 묻는다. 이 논제 역시 제시문에 나온 실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호르몬의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만일
자동차
도 프로세서처럼 에너지를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 사용한다면, 시속 40km의
자동차
두 대를 사용할 경우 연료가 더 적게 들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만든 컴퓨터가 클러스터(cluster)다. 초고속은 아니지만 연비(에너지 효율)가 좋은 컴퓨터 여러 대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면 초고성능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굉음과 함께 시속 360km로 질주하는 F1 머신을 보고 있으면 온몸에 전율이 오고 심장이 고동친다. 온 경기장을 울리는 큰 소리 때문에 머신을 굉장히 크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머신의 크기는 사실 승용차의 1/4밖에 되지 않는다. 공기 저항을 줄여 빠르게 달리기 위해서다. 하지만 머신은 작게 보이 ... ...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신기하지 않다. 음성인식으로 시동을 걸거나 장소를 안내하는 기능도 특별하지 않다.
자동차
가 점점 주인을 빠르고 안전하고 편하게 스스로 알아서 데려다 주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도 마찬가지다. 외부에서 전기나 가스레인지를 끄는 수준은 이미 넘어섰다. 광고에서 볼 수 있듯이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