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동안 뇌에서 나타나는 반응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해 분석했다. 그 결과, 놀랍게도 우리가 강한 질투를 느끼는 상대가 불행을 겪을 때 우리 뇌는 기쁨을 느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질투할수록 뇌는 아프고 또 기쁘다연구팀이 실험 참가자들에게 건넨 ... ...
- 손톱만 만지작거려도 이메일이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그리고 예쁜 네일아트 스티커층으로 구성된 아주 작은 터치 스크린을 만든 거예요.이 장치를 손톱에 달고 마치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하듯 손톱을 터치하면 화면을 조종하거나 글자를 입력할 수 있지요. 손톱에 붙였다 뗐다 할 수 있으면서, 가장 위에 있는 스티커층만 바꾸면 매일 모양도 바꿔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믿음직한 소프트웨어가 만드는 안전한 세상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근처에 있을 때, 가속도에 따른 예상위치를 초 단위로 계산해 충돌위험을 알린다. 이 장치도 스케이드를 이용해 만들었다. 원자력발전소는 다른 어느 곳보다 안전이 중요한 곳이다. 원자로 내부의 수소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수소농도를 측정해 대응하는 ‘수소감시시스템 (HMS)’ 역시 ... ...
- 발걸음이 가벼워지는 특수 부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발목 뒤쪽의 아킬레스건 부분에 용수철을 달고, 무릎 뒤에 이 용수철을 잡아 줄 수 있는 장치를 달았지요. 걸을 때 줄었다 늘어났다 하면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종아리 근육과 나란하게 용수철을 달아서 걸을 때 필요한 힘을 나눈 것이랍니다. 실험 결과 걸음을 걸을 때 사용하는 대사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자랐다. 베지는 태양광 대신에 LED 불빛을 이용하며, 온도와 습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치다. 2014년 NASA가 우주선에서 안전하게 채소를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veg-01’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설치됐다.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베지에서 자란 상추는 지난해 10월 지구에서 안전성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카메라가 사진을 찍는 원리를 알려주세요!카메라는 빛을 이용해 사물을 그림으로 담는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시광선을 담아 사진으로 나타내지요. 사람의 눈은 파장이 380~800나노미터(nm, 1nm는 100만 분의 1mm)인 가시광선만 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카메라가 깊이를 감지한다고요?네, 3차원 ... ...
- [Hot Issue] 굿바이 M16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기계식 가늠쇠 대신에 조준점이 바로 보이는 도트사이트, 주야간 조준경, 적외선 조정장치 등 소총에 부착하는 액세서리는 최근 들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이제는 탄의 관통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총열의 길이를 줄여 휴대성과 무게를 줄이는 게 개발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다.콜트의 라이벌들이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2020년이면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웨어러블 기기 등 모든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 생체인식 장치가 들어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수학으로 인식하는 생체정보생체인증은 크게 두 과정으로 나뉜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사용자 자신이 자신임을 확인받는 인증 과정이다. 생체인증 ...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따왔다. 볼타는 최초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전지를 만들었다. 볼타 전지라 불리는 이 장치는 구리판과 아연판을 여러 층으로 쌓고 이들을 묽은 황산용액에 넣어 만든다. 구리·아연 층이 쌓일수록 전압도 커지며, 화합물의 전기분해 같은 다양한 실험에 성공적으로 쓰였다.주파수의 단위인 Hz(헤르츠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시속 54km의 바람이 불 때 5×7.5cm 크기의 장치 하나에서 0.86mW 정도만 얻을 수 있어요. 같은 장치 1만 개를 한 시간 동안 펄럭여야 스마트폰 배터리 하나를 충전할 정도지요. 하지만 앞으로 효율을 높이고 크기를 키우면 더 많은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해요. 물방울을 만나면 전기를 뱉는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