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등온선과 겨울철 수온 12℃ 등온선의 위치가 점차 고위도로 옮겨갔다며, 고위도의 해역이 점차 따뜻해지자 소라 서식 분포도 함께 변했다고 설명했다. doi: 10.3390/jmse8100782비슷한 경향이 밥상 위 단골손님인 고등어와 명태 등의 어획량 변화에도 드러난다. 통계청이 2018년 발표한 ‘기후(수온)변화에 ... ...
- [과학동화] 토끼와 용왕, 모두의 해피엔딩 '별주부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용왕님이 위중하니 간을 내놓으라니요. 좋은 구경을 시켜준다는 자라의 말에 속아 용궁에 도착한 토끼의 눈앞이 캄캄해졌습니다. 하지만 호랑이 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 깊습니다. 제브라피시와 인간 모두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이 동화의 결말과 달랐네요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앞에서 나는 휴대전화 카메라를 켜서 영정사진을 찍었다. 유리에 빛이 반사되어 희뿌연 점이 남아서, 몇 번이고 다시 찍었다. 에이씨, 하고 짜증을 내다가 나는 주머니에 있는 안경닦이를 꺼내 뽀득뽀득 외할머니 영정 앞 유리를 닦았다. 사진 속의 외할머니는 한복을 차려 입고 입 꼬리를 살짝 올려 ...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특성이 매력적이었고, 개체수가 많아 많은 데이터를 모아 결과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도 좋았죠. Q 요즘 어떤 연구를 하고 있나요?저는 생물에서의 여러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하는 데 재미를 느낍니다. 앞서 소개한 연구도 ‘개미에게 수학의 최적화 법칙이 실제로 적용될까?’라는 의문에서 ... ...
-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온 제4회 온라인 폴리매스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조금 아쉬운 점이 있었다면 순위권 대부분이 외부에서 유입된 코딩 실력자들이었다는 점이에요. 폴리매스 회원들을 생각하면서 기획했던 대회였기 때문에 외부 참가자 유입은 생각하지 못한 변수였죠. 다음엔 이 부분에 대한 대안을 좀 더 고민해보려 합니다. 온라인 폴리매스데이는 우리들의 ...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정보와 음악의 홍수 속에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비전과 철학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음악과 연구가 똑같다. 그래서 나는 프로 연구자이자 뮤지션으로, 프로 뮤지션이자 연구자로 살고 있다. 박새별 연세대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 ...
- [그래프뉴스] 10대, 성희롱에 대해 오해하고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1.98점)은 성희롱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가장 적었어요. 전체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2.36점이었어요. 연구팀은 “성희롱이 일어나는 원인이 피해자에게 있다고 여기거나 피해자가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생각이 대표적인 오해”라고 설명했어요 ... ...
- 블레즈 파스칼의 일기(1623~1662)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메레는 한 번만 더 이기면 최종 승리한다. 하지만 친구가 이기면 드 메레와 친구는 같은 점수를 갖게 된다. 둘은 승부를 내기 위해 두 번만 더 게임을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네 가지 경우가 있다. ➊ 게임을 두 판 더 해서 드 메레가 두 판 모두 이기는 경우 → 6:3으로 드 메레 승!➋ 첫 판에 드 메레가 ... ...
- [수학게임X파일] 추론 능력이 쑥쑥! 퍼즐 게임 매머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나갈 수 있을지 파악한 뒤 얼음을 차례로 움직여야 해요. 파일2. 매머드 게임의 어떤 점이 수학적 추론을 요구하나요? 추론은 이미 알고 있는 정보로부터 논리적인 결론을 이끄는 과정이에요. 모든 학문을 연구할 때 필요한 기본 방법이지만 수학에서 특히 중요해요. 그래서 각종 입시 수학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창작품,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될까요?저는 전혀 위협적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이 창작 영역을 넓혔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죠. 오히려 위협적인 것은 몇몇 사람들만 이 기술을 잘 활용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예술가와 인공지능이 공존하는 문제보다 기술의 격차가 만들어 낸 사회적 격차가 더 걱정돼요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