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식
지식
견문
공부
면학
연구
학업
d라이브러리
"
학문
"(으)로 총 2,15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현재의 컴퓨터를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인간과 같은 기능을 가진 기계를 만들려는
학문
로봇학이라고도 한다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광물이다 사각주상(四角柱狀) 또는 탁상(卓狀) 결정을 이루며 장석과 흡사하지만 광택이 강하고 기름기가 도는 듯이 보인다 로숑이 고안한 편광프리즘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드러났기 때문이다. DNA에서 메틸화 현상을 밝혀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을 밝히는 새로운
학문
후성학을 만나보자.포스트게놈시대를 맞이해 게놈프로젝트의 연구결과를 의학이나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일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물체의 기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데, ... ...
최장수 여성 장관의 비결은 과학자 경력 김명자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진흥부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과학자로서 사회문제를 제대로 바라보기 위해
학문
적으로 새로운 영역에 과감하게 도전하기도 했다. 1984년 서울대 대학원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이 개설되자 자신보다 후배인 교수가 가르치는 강의를 대학원생들과 똑같은 입장에서 수강하는 열의를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말한다 생물체가 관련하는 마찰마모 윤활현상(摩擦磨耗潤滑現象)과 그 응용에 관한
학문
분야 예를 들면 관절 · 치아 · 피부· 혈관 등의 생체기구와 그 재료 및 그것들이 질환을 일으켰을 때 대체기구나 그 재료의 트라이볼로지, 또 윤활유에 대한 미생물의 작용 등이다특히 관절에 관해서는 ... ...
학사 출신 연구원 다나카의 수상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마냥 겸연쩍어하며 작업복차림으로 기자회견장에 끌려나오듯 했다고. 다나카 연구원은
학문
의 최고 정점에 있는 노벨상과 왠지 어울리지 않게 너무나도 ‘평범하기’ 때문에 더 큰 화젯거리를 몰고 다녔다.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를 발표하던 당시 다나카 연구원은 교토의 정밀기기제작회사인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됐다. 펜 교수와 다나카의 단백질 질량분석 방법은 최근 단백질 체학(proteomics)라는
학문
을 여는데 결정적 기여를했으며, 이는 새로운 약품의 개발과 유방암, 전립선암 등의 난치병 극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 ...
지구 생물체 80% 존재하는 바다 개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는“화학공학은 비료와 석유에서 시작된
학문
으로 화학적 촉매를 이용해 상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한다”며“이같은 화학공학적 접근이 생명공학에도 유리하다”고 덧붙였다.그는 그 예로 페니실린의 대량생산 역사에 대해 얘기해줬다. 1940년대 ... ...
세계 영재석학이 전하는 과학 영재교육의 노하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문제 하나하나를 풀어나가야 한다.반면 IYPT는 일상생활 속에서 발견할 수 있으면서 여러
학문
분야가 복합돼 있는 문제를 제시한다. 또한 이들 문제의 답이 정해져 있지 않다. 학생들의 사고능력에 따라 여러 답이 나올 수 있다. 그리고 이 문제를 미리 인터넷에 수개월 전에 공개한다. 따라서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있다는 얘기다.법곤충학은 시체 부패와 관련된 곤충들을 이용해 다양한 범죄를 추적하는
학문
이다. 특히 의학적으로 추정하기 힘든 사체의 사망시간을 추정하는데 요긴하다. 예를 들어 시체를 먹거나 알을 낳기 위해 날아오는 파리의 경우 종류에 따라 시체에 다가오는 순서가 다르다. 청파리는 ... ...
2. 네이처·사이언스 권위에 금이 간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사실 자신과 정반대의 입장을 지지하는 사람을 설득해야 한다는 네이처의 요구는
학문
적으로 타당하다. 문제는 심사위원의 반대 이유다. 서교수의 경우 네이처는 3쪽에 걸친 강력한 논문 게재 반대평을 받았다. ‘대다수 실험이 모델의 잘못을 입증하기보다 모델을 옹호하기 위해 꿰맞춰졌다’는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