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레이닝
교육
연습
조련
단련
교련
훈육
d라이브러리
"
훈련
"(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생각됐다.안내를 맡았던 보리스 에신씨는 끝으로 한국의 예비 우주비행사가 이곳에 와서
훈련
을 받고 우주비행을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우주비행사는 아니지만 우주공학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20여년 전부터 와보고 싶었던 이곳을 방문하게 돼 개인적으로 큰 기쁨이었다. 우리도 ...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KFP 사업 등을 통해 상당한 기술 수준을 확보하고 있으며 민간 경비행기인 창공-91호나
훈련
기인 KTX-1 등에 대한 항공기 자체 설계기술을 개발한 바 있어 최소한 항공 중진국으로 발돋움할 기술기반이 닦여 있는 셈이다. 정부는 획일적인 민간주도 산업육성정책을 선별적으로 채택해 추진할 안목을 ... ...
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 위원장 권원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인력양성이 중요하기때문에 과학올림피아드 참여를 통해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
훈련
시키는 일에 적극 뛰어들게 됐습니다.또한 과학올림피아드를 통해 입시위주의 암기식 중고교 수학, 과학교육이 창의력과 사고력, 분석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전환되기를 기대합니다. 이러한 교육이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며칠밤을 지새더라도 준비공부를 하지 않으면 못배길 만큼 힘들었다." 이런 고된
훈련
덕분이었는지 이들은 나중에 미국의 내로라하는 대학에서 모두들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어차피 말이 나왔으니 이 기회에 현경호 박사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넘어가겠다. 59년 원자력원이 발족했을 때 원자력은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상향식 방식이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문제는 어떻게 하면 퍼셉트론을 빨리
훈련
시키고, 또한 그 덩치를 크게 만들 것인가였다.그러나 오래전부터 로젠블랫이 받는 스폿라이트에 얼굴을 찡그린 사람이 있었다. 그는 로젠블랫의 고등학교 동기동창인 마빈 민스키(Marvin Minsky)였다. 마빈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단기적인 응급조치는 될 수 있을지언정 영구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는 없었다. 해외
훈련
내용이 우리나라의 필요에 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경비와 시간소모에 그치는 경우도 있었다.한때 국내 기존 대학원의 집중육성으로 고급두뇌를 양성하는 방안이 검토됐으나 당시 대학원교육은 교육방법,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짜 캠프의 참가자들이 번갈아가며 지상요원과 비행사역할을 경험해보는 것이다. 이 미션
훈련
을 위해 캠프 참가자들은 우주선의 작동원리, 발사와 착륙시 주의사항 등 실제 우주비행의 기초를 배우게 된다. 미국 스페이스캠프에도 동일한 형태로 갖춰져 있는 이 '셔틀미션'시설은 미국 휴스턴의 존슨 ...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학습해 인식률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화자/필기자 종속적인 시스템을 이야기할 때는
훈련
을 하기 전에는 얼마나 인식하는가 또 얼마나 빨리 배우는가 어디까지 배울 수 있는가 등으로 구체적으로 언급해 주어야 한다.음성인식보다는 그래도 필기인식이 실용화에 가깝다. 필기인식을 통해 쓰기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최초였을 것'이라는 정영춘씨는 "다행히 특상을 받아 면목이 섰고 애당초 유급이라던
훈련
기간도 면제돼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는 말을 실감했었다"며 호탕하게 웃는다. 발명품 기업화 시켜야'전문발명인'못지 않게 그가 중요하게 여기는 또 하나의 과제가 바로 발명품의 기업화문제. 그 자신은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나타나게 된다. 교과서는 대충 시험에 나올 요점을 찍어 가르치고, 문제집을 선택해
훈련
시키면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실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는 것이다. 이 적응에 익숙한 교사들은 그간 쌓아 온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참고서를 쓰게 된다. 이 참고서는 알게 모르게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