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뉴스
"
식
"(으)로 총 2,12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⑮ 인간은 왜 ‘수다’를 떨까?
2017.08.19
하지만 가벼운 결속은 가볍게 깨집니다. 적절한 친구의 숫자가 150명 혹은 300명이라는
식
의 이야기에 우울해 하지 마십시오. 진정한 친구는 평생 한 명 만나기도 쉽지 않습니다. 팔로워와 페친의 숫자를 자신의 사회적 영향력으로 착각해서는 곤란합니다. 수다떨기와 무리짓기를 잘하지 못하는 당신. ... ...
혐오스런 바퀴벌레지만... 과학자에겐 매력적인 이유
과학동아
l
2017.08.18
UC버클리) 폴리페달 생체역학연구실 로버트 풀 교수와 하버드대 로봇공학자 코
식
자야람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은 외골격이 마치 트럼프카드를 여러 장 펼친 듯한 모양이다. 판들이 서로 겹쳐지면서 몸을 절반가량 납작하게 만들 수 있다. 산사태나 지진, 대형 화재 등 사람이 들어가기 어려운 재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게 맞다면 걸쭉한 애벌레 주스에 분해효소가 있을 것이기 때문에 필름 표면에 어떤
식
으로든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애벌레 주스 처리 전후의 필름 표면의 원자힘현미경 이미지를 비교해 보자 처리 후의 표면이 훨씬 거칠었다. 또 필름 질량도 13%나 줄어들었다. 그리고 적외선분광법으로 분석한 결과 ... ...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뭐길래?…과기정책 컨트롤타워, 어떻게 흘러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8.12
자신이 물러난 이후 과기정책 컨트롤타워가 사라져 한국 과기계가 퇴보했다는
식
의 주장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 과학기술정책 전문가는 “참여정부 이후에도 과학기술 컨트롤타워가 없었던 적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오히려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이 가장 강화됐던 때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⑭ 유방의 수수께끼
2017.08.12
성적 상징 중 하나는 단연 유방입니다.. 혹시 지난 백 여년간 만연하게 된 모유 대체
식
, 그리고 모자 애착의 결핍으로 인해서, 현대인의 마음에 유방에 대한 과도한 선망과 허기가 자리하게 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아이를 안고 있는 아른헴 지역의 아보리진 여성. 수렵채집사회의 여성들은 ... ...
식
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
과학동아
l
2017.08.10
덮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다른
식
물도 이 규칙에 따라 성장하는지,
식
물과 뉴런이 이와 같은 수학적 규칙에 따라 자라는 분자 수준의 원리는 무엇인지도 밝힐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6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ub.2017.06.00 ... ...
英 엄격한 법 규제에도 인간배아 연구 활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9
제정될 당시만 해도 유전자 치료법은 바이러스를 통해 유전물질을 주입하는 방
식
뿐이었다”며 “기술이 발달한 만큼 법도 새로운 기준에서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 됐다”고 말했다 ... ...
카카오뱅크, 은행 IT에 새 이정표를 제시했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8.09
선택했습니다. 카카오뱅크가 직접 개발한 것은 아니고 전북은행의 코어뱅킹 시스템을 이
식
했습니다. 전북은행은 국내 최초로 자바 기반 코어뱅킹 시스템을 구축한 회사입니다. 개발은 LG CNS가 담당했습니다. ※ 필자소개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 심재석 기자는 IT전문기자 모임인 ... ...
MS 애저 스택, 클라우드의 오랜 고민 풀까
2017.08.08
실시간 데이터 수집은 애저 스택에 맡겨두고, 이후에 데이터 분석 등은 애저에 맡기는
식
입니다. 애저 스택은 클라우드와 운영체제를 모두 갖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스스로의 강점을 잘 묶어서 만들어낸 클라우드 환경이라는 점이 눈여겨볼 부분입니다. 시스템 구조가 드러나는 것에 연연하지 ... ...
[써보니] 아이패드 프로 10.5
2017.08.07
실제로 주사율이 떨어진다기보다 120㎐ 화면에서 콘텐츠 부분만 24㎐로 바꾸어 주사하는
식
이다. 물론 워드프로세서를 쓰거나 전자책을 읽는 등 화면에 동적인 요소가 줄어들면 그에 따라 실제 주사율을 낮춰 전력 소비량을 낮추기도 한다. 이건 근래 나오는 아이패드나 맥 등 애플 기기에 공통으로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