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문"(으)로 총 1,6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회의비·식비 증빙 면제' 연구비 사용 대폭 간소화된다동아사이언스 l2018.12.20
- 부정 집행 행위는 엄격히 분류해 엄단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자율과 책임의 연구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 연구개발(R&D) 제도 개선안’을 심의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19일 연구비를 고의로 부정하게 사용한 ... ...
- 바이오산업 메카 꿈꾸는 홍릉에 300억원 특화펀드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8.12.18
- 특화펀드의 성공 조건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는 손미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박구선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이사장, 지동현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 이사장, 묵현상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장, 이해성 존슨앤존슨 이노베이션 이사 등이 참여해 홍릉 클러스터링 성공을 위한 R&DB ... ...
-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동아사이언스 l2018.12.18
- 꼽혔다. 이번 조사는 브릭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3~7일 5일 동안 진행됐으며, 조사 뒤 내부 자문단의 논의를 거쳐 선정됐다.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솔루션스 유한회사와 아베스코 주식회사가 후원했다. 브릭은 2003년부터 매년 의생명과학 분야 연구자가 참여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바이오 10대 ... ...
- 한국인이 주도한 '한의학 세계화' 결실을 맺다…네이처 선정 올해 기사 10선동아사이언스 l2018.12.15
- 최승훈 단국대 교수는 2004년 세계보건기구(WHO)의 세계 서태평양 전통의학 자문관을 맡아 아시아 국가들의 전통의료 기술을 모아 하나의 분류로 만들려 노력을 해왔다. 그 결과로 내년에는 WHO의 산하기관인 세계보건협회가 질병과 건강 문제에 관한 국제 통계 분류표에 한의학에 관한 ... ...
- 염한웅 과기자문회의 부의장 “정부의 혁신성장론 과거 정부 답습에 불과”동아사이언스 l2018.12.13
- 정부의 ‘신성장동력’ 정책을 답습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첫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을 지낸 염한웅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장(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은 1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혁신성장을 위한 국가혁신체계 2019 대토론회’에서 ... ...
- 벼·돼지·생쥐 국가자원으로 관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12.11
- 바이오특위)’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심의했다. 바이오특별위원회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바이오 분야 범부처 종합 조정기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농립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등 부처 실장급 공무원과 산학연 민간위원 총 23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 ...
- 읽다 보면 저절로 수학지식이 쌓인다! 인기웹툰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2018.12.09
- 메일이 왔다. 수학과에 진학하고 싶다며 진로 상담하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수학 자문 담당 수학과 친구에게 상담을 부탁했다. 친구는 수학과에 무척 만족하고 있고 안 좋은 점은 하나도 없다고 했고, 독자는 결국 수학과에 진학하기로 했다. 나는 수시모집 시기에 오히려 팬레터가 많이 온다 ...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2018.12.08
- 과학 분야의 비전을 제시해주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의 자문위원이기도 한 제라르 무루 교수는 매년 한국을 방문하고 있다. 왼쪽부터 첫 번째가 남창희 교수, 두 번째가 무루 교수다. 남창희 제공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을 ... ...
- 올해를 빛낸 기초연구자에 김동인 성대 교수·김기현 한양대 교수 등 10인동아사이언스 l2018.12.05
- 브릭) 실장이 선정됐다. 올해의 기초연구자와 함께 기초연구 정책의 수립과 자문, 심의에 기여한 5명도 함께 시상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새로운 혁신 동력을 확보하고 미래 과학기술 역량을 얻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연구자의 창의성과 도전성에 기반한 기초연구 지원을 강화해 ... ...
- "사퇴 압력은 없었다" 신성철 총장 일문일답동아사이언스 l2018.12.04
-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나라 불행이다. KAIST는 세계로 뛰어나가야 한다. 중국 대학을 요즘 자문하는데, 중국은 날아가고 있다. 핵심은 자율권을 준다는 것이다. 우리는 그런 면에서 힘들다. 발목이 잡혀 있다. 그렇다면 문제가 크다. 세계적 연구소와 대등한 협을 맺고 유리한 기회를 얻었다. 외국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