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릴때부터 포켓몬 즐긴 사람, 뇌 속에 포켓몬 구역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8세 사이 처음 포켓몬을 시작한 어른들을 모집했다. 고메즈 박사과정생과 연구 공동
저자
인 마이클 바넷 미국 스탠퍼드대 심리학부 교수를 포함한 11명이 참가했다. 연구팀은 포켓몬 경험자와 미경험자에게 포켓몬 캐릭터 수백 개를 보여준 후 뇌의 혈류량을 측정해 뇌 활성도를 보는 장비인 기능성 ... ...
터지지 않는 배터리 ‘전고체전지’의 불안정 문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줄어들고 부반응으로 형성되는 절연성 물질의 형성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신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김병곤 연구원은 “본 연구결과는 고체전해질과 탄소 계면의 부반응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결책 및 도전재의 새로운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며 “지금 단계에서는 비록 고온 ... ...
기능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전자 빔을 쏘아 얇은 물질을 투과시켜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다. 제 1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조용륜 GIST 박사과정생은 “입자의 크기는 오직 온도에 의해 조절이 가능했고 금속과 산화물 기판의 경계에서 촉매의 반응이 일어났다”며 “생성원리를 파악해 입자의 분포를 제어할 수 ... ...
[르포]'주제·일정 제멋대로' 서울서 열린 부실학회
2019.04.22
보고서에 “학술대회에서의 발표 목적으로 만든 학술 연구 논문에 게재된 한국인
저자
를 조사했다”며 “다만 실제로 참석한 것을 확인하지는 않았다”고 단서를 달았다. 논문만 내고 참석하지 않은 경우나, 논문을 낸 후 부실학회임을 알고 철회해도 부실학회가 논문 게재를 강행하는 경우가 ... ...
"부실학회 판단 어렵다" 부실통계에 참가자 면죄부까지 준 이상한 보고서
2019.04.21
보고서에 “학술대회에서의 발표 목적으로 만든 학술 연구 논문에 게재된 한국인
저자
를 조사했다”며 “다만 실제로 참석한 것을 확인하지는 않았다”고 단서를 달았다. 논문만 내고 참석하지 않은 경우나, 논문을 낸 후 부실학회임을 알고 철회해도 부실학회가 논문 게재를 강행하는 경우가 ... ...
"중국 미세먼지 줄어도 한국 미세먼지 유입량 줄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중국에서 미세먼지가 줄었다는 증거로 제시되는 논문은 크게 두 가진데 둘 다
저자
가 거의 같다”며 “제거효율을 조금 바꿈으로써 엄청나게 배출량을 줄이는 방식”고 지적했다. 제거효율을 바꿔서 중국이 근거로 드는 2017년과 2018년에 발간된 두 논문을 보면 12년 대비 15년 배출량이 PM2.5는 ... ...
한국 학자 부실추정 학회 여전히 '기웃'…숫자는 급감
연합뉴스
l
2019.04.16
분류되는 학술 행사에 논문을 낸 한국인
저자
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제1
저자
기준 월평균 발표자 수는 비트 콘퍼런스 2017년 19.3명에서 2018년 11∼2019년 3월 4.9명으로 감소했다. WRL은 19.3명에서 6.6명으로 줄었다. 지난해 10월 한국연구재단의 부실학회 예방 가이드 배포 이후 참가 숫자는 ... ...
AI, 과학 학술서적 썼다…
저자
명은 '베타 라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4
자세히 볼 수 있다고 출판사 측은 밝혔다. AI는 목차도 스스로 작성했다. 하지만 아직 AI
저자
와 편집자는 완성도가 다소 떨어진다. 어색한 내용이 다수 발견되는 등 아직 일부분에서 한계가 드러났다. 헤닝 쇼넨버그 스프링거 네이처 생성자료 및 메타데이터 담당자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주제로 ... ...
자연이 만든 플라스마 발생장치 '포도알'
과학동아
l
2019.04.13
속을 제거하고 껍질만 남긴 뒤 내부를 물로 채우면 플라스마가 나타났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함자 카하텍 트렌트대 연구원은 “포도알 정도 되는 크기와 모양, 수분을 함유한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플라스마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포도알 플라스마가 자칫 화재로 ... ...
‘안정성 세계 최고’ 수소 생산용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수소가 나온 흔적이다. 양쪽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사진제공 UNIST 공동 제1
저자
인 김창민 연구원은 “최근 알카라인 물 전기분해 기술은 대부분 금속에 기반을 둔 수소생산반응 촉매 연구에 집중됐다”며 “반면 산소발생반응 촉매는 연구가 덜 이뤄져 물 분해 반응의 발목을 잡았는데,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