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312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모 엄격한 아이들 우울증 증가...DNA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0.20
발견했다. 메틸화는 작은 화학 분자(메틸기)가 DNA에 추가되는 과정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
하는 역할을 한다. 그간 여러 연구를 통해 메틸화 증가가 우울증에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2015년 4월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에서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일란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생물 먹이가 된 플라스틱 쓰레기
2022.10.18
putida)로 유기산 혼합물을 먹고 특정한 분자를 만들어내도록 게놈에 손을 대 대사경로를
조절
한 상태다. 실험에 쓰인 두 균주 가운데 하나인 AW304 유기산 혼합물을 먹고 베타-케토아디페이트라는 분자를 만든다. 베타-케토아디페이트은 헥사메틸디아민과 반응시켜 나일론과 물성이 비슷한 ... ...
이종호 장관 "소형모듈원자로 등 원자력 분야 성장동력 확충"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SMR은 발전용량 300메가와트e(MWe) 이하의 소규모 원자로로 출력
조절
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높아 차세대 원자로 기술로 꼽힌다. 지난 5월 SMR을 개발하는 연구사업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며 SMR 개발이 탄력을 받게 됐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두에게 잘 할 수 없는 이유
2022.10.08
추론하며(마음 읽기), 이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추론해 자기 검열과 행동
조절
을 수행한다. 타인이 존재하는 우리는 단 한 시도 눈치 보기를 멈추지 않으며 마치 셜록 홈즈처럼 열심히 탐정놀이를 한다. 이는 주의력, 논리력, 추론능력 등 매우 고등한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 ...
전기 없이 냉각되는 기판 개발...나비 날개 모사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연구팀이 나비 날개 모사 기판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나비가 날개로 체온
조절
이 가능한 것은 나비 날개가 가진 독특한 나노 형상 구조 때문이다. 200~8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다공성 구조와 주기적 격자로 이뤄져 있다. 연구팀은 이 나노 구조를 모사했다. 나비 날개의 ... ...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내놨다.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두 분야는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관찰하고
조절
하는 화학생물학과 신약 개발에 커다란 공헌을 했다”며 “생명현상 연구에 새로운 시대를 열어 이미 수상이 예측돼 왔다”고 말했다. 2022 노벨화학상 공동수상자인 캐럴린 버토지(55) 미국 스탠포드대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염증성 장 질환 진단 및 회복 핵심효소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핵심 효소를 발굴하고 외부로부터 면역기능을 제공한다고 알려진 ‘솔세포’ 발생을
조절
한다는 점을 규명했다고 6일 밝혔다.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기술 개발 등에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세포 및 분자 소화기학 및 간장학’에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 ... ...
이노스페이스, 브라질서 상업용 우주발사체 쏘아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개발중이다.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은 구조가 단순하다는 고체 로켓의 장점과 추력
조절
이 가능한 액체연료의 장점을 융합한 기술로 꼽힌다. 이노스페이스에 따르면 짧은 제작기간과 안전성, 경제성을 갖춘 게 장점이다. 한빛은 올 12월 브라질 알칸타라 발사센터에서 첫 시험 발사에 나선다. ... ...
사람 시냅스 모사한 반도체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6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에 따라 뉴런 간의 연결강도를
조절
하는 ‘뉴런’을 모사한 반도체 소자가 필요하다. 현재 주로 쓰이는 실리콘 기반 반도체 소자는 에너지 소모가 크고 실제 뉴런과 유사한 고집적 시스템을 구현하기엔 물리적 한계가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찰칵' 하면 결합하는 '클릭화학'...신약 개발 '주춧돌'
2022.10.06
이러한 연구들은 생명 현상을 이해하는 데 커다란 공헌을 했다. 항암제 개발 및 면역
조절
에 관련된 다양한 신약 개발에 중요한 공헌을 해 왔다. 이러한 이유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하게 된 것이다. AP/연합뉴스 제공 이 클릭 화학은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서 노벨화학상 수상이 예측되어온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