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점"(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 [드론 5종 비교]샤오미 미 드론, DJI 팬텀 등 4K 드론 비교 2016.06.06
- 발표됐는데요. 팬텀4에서는 설정한 피사체를 따라 촬영하는 액티브트랙, 화면으로 특정 지점을 터치하면 자동으로 비행하는 탭플라이 등의 신기능이 추가됐습니다. 카메라도 슬로우 모션 기능이 추가됐습니다. 특히 비행 속도를 72km/h까지 올릴 수 있는 스포츠 모드가 새롭게 장착돼서 드론 ... ...
- 빛의 파장보다 작은 물체 관찰하는 ‘메타렌즈’2016.06.05
- 만든 표면을 ‘메타표면’이라 하는데, 메타표면은 입사된 빛의 방향을 틀어 특정 지점을 향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산화티타늄은 반사율이 높아 안료로도 쓰이는 소재다. 빛의 파장보다도 짧은 거리에 있는 두 물체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분해능이 높다는 것도 메타렌즈의 장점이다. 400㎚ ... ...
- 사용후핵연료 처분 실험 지하 120m 동굴 ‘KURT’를 아시나요2016.06.03
-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실험이 진행된다. - 대전=권예슬 기자 yskwon@donga.com “땅속 120m 지점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서늘한 기운이 감도는 회색빛 지하도로를 따라 걸어 들어가자 철문이 나타났다. 무거운 문을 열고 들어선 실험실에는 땅속에 묻어 둔 금속 통이 눈에 띄었다. 전선이 복잡하게 ... ...
- [REVIEW] 프로 애플러 기자가 직접 쓴 아이패드 프로 9.7 사용기2016.05.26
- 프로 12.9의 축소판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답은 당연하지만 ‘딱 그 중간’ 지점이 되지 않을까. 먼저 아이패드 에어2의 뒤를 잇는 기기라고 해석해보자. 당연하지만 프로세서 성능이 좋아졌다. 12.9인치에 들어간 A9X 프로세서가 그대로 쓰인다. 대신 메모리는 2GB로 12.9인치보다는 작다. 이 ... ...
- 산악사고 급증의 계절… ‘낮 12시 북한산行 50代’ 조심하세요동아일보 l2016.05.23
- 부상자 대비 사망 비율이 높았다. 종주를 시작한 등산객들이 대개 1박을 하고 가는 중간 지점인 벽소령에서도 하루 산행이 끝날 때쯤 지친 등산객의 사고가 많았다. 천왕봉과 중산리를 잇는 중산리 코스(약 5.4km)의 개선문에서도 사고가 많았다. 중산리 코스는 짧아서 종주를 마친 사람들이 하산 ... ...
- IBM 인공지능 로봇 ‘나오미’와 직접 대화해보니…2016.05.20
- 내용을 설명하는 일까지 하고 있다. 일본 도쿄미쓰비시UFJ은행은 최근 나리타 공항 지점에 일본어, 영어, 중국어 등을 구사하는 로봇 ‘나오’를 배치해 환전 서비스를 맡기고 있다. 금융회사들은 고도의 전문성과 판단력이 요구되는 분석 업무에도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미국 투자은행(IB)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주 뒤 실시한 테스트에서 이에 대한 감정상태를 훨씬 약하게 평가했다. 즉 막대에 표시한 지점이 중앙(중성 감정)에 더 가까워졌다. 다음으로 얼굴을 보고 ‘슬픔’과 ‘행복함’ 가운데 감정 상태를 선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테스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즉 명백하게 슬프거나 ... ...
- 1km 높이, 세계 최고 폭포 ‘아름답다’ 팝뉴스 l2016.05.13
- 눈길을 끌고 있다. 이 폭포는 베네수엘라에 위치한 ‘엔젤 폭포’다. 폭포가 위치한 지점은 바위 절벽의 꼭대기다. 980미터 약 1킬로미터 높이의 폭포다. 쉽게 볼 수 없는 이 폭포의 모습은 드론을 통해 촬영되었다. 드론 덕분에 폭포의 멋진 풍경을 많은 이들이 감상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지구에 ... ...
- [단독] 한반도 미세먼지 측정하는 美 연구용 비행기, 본보 최초 탑승 동행기2016.05.09
- 갑자기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수치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게 흥미롭다. 방금 지난 지점은 다음 비행 때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는 크로퍼드 연구원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곧이어 다른 연구원이 “해변 지역의 선박에서 배출된 물질 같다”며 의견을 나눴다. 비행기에 탑재된 측정 장비 ... ...
- “신약 개발, 선발-마무리 역량 보강해야”동아일보 l2016.05.09
- 비용 중 절반 이상이 임상의 마지막인 ‘3상’에 쓰인다. 정부의 지원이 꼭 필요한 지점이다. ○ 정부 지원에 기대감 상승 정부는 최근 신약 연구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대상을 종전의 합성신약 임상 1, 2상에서 3상을 추가하기로 했다. 공제율은 최대 30%다. 임상 시험 비용 중 절반 이상이 3상 단계에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