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깐
잠시
d라이브러리
"
짧은시간
"(으)로 총 1,69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지층과 화석, 지구의 현재와 미래까지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10
지표의 암석은 오랜 기간 동안 풍화 침식 운반 퇴적 작용을 받아 퇴적물이 되고 이로부터 지층이 이루어졌다. 지층은 여러 종류의 퇴적암 화석 퇴적 구조를 내포하며, 이들은 그 기간 동안의 역사를 말해준다.지구는 언제 생성됐고 또 그 모습은 어떠했으며 과거에는 어떠한 생물들이 번성했는가?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09
국내에서 우리 연구원들 손으로 만들어진 우리별 2호가 9월23일 발사된다. 우리별 2호는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1호와의 차이는 무엇일까.92년 10월 13일 프로젝트의 시작을 선언하는 개시회의를 시작으로 이곳 대덕에서 제작된 우리별 2호가 이제 9월 23일 발사 예정(주위성인 스풋위성과 기타 상황에 따 ... ...
물리- 전하량은 항상 보존된다
과학동아
l
199309
우리가 전기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전하를 소비하는 것이 아니고 전기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뜻이다.여름에 먹구름이 몰려오고 비바람이 치면 대개의 경우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다. 옛날에는 이를 하늘이 벌을 내리는 것이라 하여 대책없이 잠잠해지기만을 기다렸으나 지금은 벼락이 떨어질만한 곳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09
컴퓨터 과학은 이제 자기증식이 가능한 인공생명을 탄생시키는 연구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21세기 중반에는 창발적 행동이 가능한 '생명기계'가 탄생할지도 모른다.생물처럼 새끼를 낳고 진화하는 기계를 만들수는 없는가. 이 질문에 해답을 내놓은 사람은 폰 노이만(1903~1957)이다. 그는 ... ...
공간기억의 일시저장은 오른쪽 뇌에서 담당
과학동아
l
199309
전화를 걸 때만은 그 번호를 외우거나 누군가를 소개받으면 그 자리에서만은 그 이름을 기억할 수 있는데 조금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심리학자에 의하면 인간은 중요한 정보를 짧은 시간 '워킹 메모리'에 저장한다고 한다. 이 저장은 일시적이고 그 용량도 정해져 있다. 말하자면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08
1백35년만에 지구를 방문한 스위프트-터털 혜성이 남기고 간 화려한 별똥들의 축제를 감상한 후 여름의 대삼각형에 숨겨진 아름다운 성운들을 찾아보자.한낮의 찌는듯한 더위로 유명한 8월의 밤하늘은 낮과는 대조적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기장 친절히 자신의 모습을 볼 기회를 제공해준다.대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08
활발한 뇌운은 10초에 한번 꼴로 방전을 반복하는데, 그 발전능력은 중규모의 발전소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 뇌운의 에너지는 빛 전파 소리로서 허공에 흩어지게 되므로 에너지 자원으로서 이용가치는 거의 없다. 고대 그리스의 신들 중에서 최고의 제우스는 뇌(雷)의 신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사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08
망원경으로 태양을 관측하는 것은 항상 예상치 못한 위험이 따른다. 주의사항을 잘 지켜 태양표면의 흑점을 관측해보자.태양은 다른 천체와는 달리 대낮에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척 크고 밝아서 비교적 작은 망원경으로도 태양의 표면모습과 흑점의 변화 등을 충분히 관측할 수 있는 유일한 항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08
지각은 깊이 침강하여 용암의 플룸에서 솟아오르며, 이 순환이 완성되는 데는 수백만년이 걸린다.지구물리학자들은 최근 지구 내부 열기관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있어 두드러진 진전을 보였다. 근착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지구물리학자들은 지난 수개월을 거치면서 해저를 구성하는 거대한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07
독특한 눈, 가벼우면서 힘이 좋은 날개, 육식성 먹이만 게걸스럽게 먹어치우는 강한 턱을 가진 잠자리의 생태를 자세히 알아보자.약 4억년 전 스코틀랜드의 고생대 데본기 상부 지층에서 발견된 톡토기의 일종(Rhyniella praecursor)이 곤충화석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러나 곤충의 기원은 좀더 빠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