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쪽
내면
밑바탕
안
속
밑동
밑
d라이브러리
"
내부
"(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촉감만으로 물질을 구별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센서의 이름을 ‘바이오택(BioTac)’으로 지었다. 바이오택은 부드러운 피부로 감쌌으며
내부
를 액체로 채웠다.피부 표면에는 진동도 느낄 수 있도록 지문을 새겨넣었다. 바이오택이 물질을 구분하는 핵심 원리는 진동 감지와 수학적 모델인 ‘베이즈 정리’다. 우선 진동 감지는 손가락 안쪽에 ... ...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되지 않는다. 이를 수학자들은 ‘평면대칭군’이라 부른다. 평면대칭군은 결정의
내부
구조나 분자 구조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그런데 알람브라 궁전은 수학자들이 평면대칭군을 발견하기도 전인 1300년경에 지어져 놀라움을 더한다. 당시 궁전을 장식하던 아랍 예술가들은 궁전의 벽면에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연결된 외부 전력망을 모두 차단한다. 그리고 소형 자가발전기 등을 이용해 발전기
내부
시설 중, 전기생산에 꼭 필요한 시설부터 자체 전기 공급을 시작한다. 그 다음 다시 발전기를 가동시킨다.그리고 주변에 있는 중소형 발전소와 변전소, 전력거래소 등 전기를 만들고 나눠주는 시설부터 전기 ... ...
Part 2. 감기약 먹었는데 왜 변비가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포함된 제산제는 변비나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마그네슘을 과량 복용하면 장
내부
에 삼투압이 증가한다. 장에서 몸으로 수분이 이동하지 못하고 많은 양의 수분이 대변과 함께 배출된다. 이 때문에 마그네슘은 변비 치료제로도 쓰인다.위장운동을 촉진시켜주는 메토클로프라마이드라는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지나치게 활성화된 상태다. 그 결과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은 위축되고
내부
에서 스스로 왜곡된 정보를 생성해 환시나 환청에 시달린다.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 역시 주로 디폴트 네트워크 영역이 손상돼 인지능력이 급격히 쇠퇴하는 질병으로 밝혀지고 있다. 레이클 교수는 “머지않아 ... ...
[정보]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내부
에서 삼각형 구조를 발견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 한강의 다리나 놀이기구의
내부
골격 등에서도 발견 되고요. 적은 재료를 이용하여 가장 견고한 구조를 만들 수 있는 구조가 바로 삼각형이기 때문입니다.잘 모르겠다고요? 아래와 같은 간단한 실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수고를 덜어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바닷물에 식물이나 동물 플랑크톤이 부족한 상태로 1~2년간 고립된 채 유지된다면 에디
내부
의 생태계가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경 100km가 넘는 에디라면 그 피해는 더욱 커진다.해양물리학자들은 에디의 생성과 특성, 소멸 등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한번 생겨난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견해가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포식자가 섭취한 원시 세균들이 죽지 않고 포식자
내부
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으며 공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전정보를 갖게 되는 생물체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와편모류는 실제로 사용하는 유전정보가 0.0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엄청난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보낸 논문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는 일반상대성 이론을 이용해 별의 외부와
내부
의 시공간 곡률을 계산했는데 그 결과 이상한 결론이 나왔다. 즉 태양질량의 별이 수축해 반지름이 3km에 이르는 순간 중력이 어느 선을 넘어서면서 표면에서 시간은 무한대로 길어지고 빛은 탈출할 수 없다는 것. 이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어디에 존재하는 걸까. 기본적으로 해커의 PC에 저장돼있다. 사실 해킹은 컴퓨터의
내부
구조와 동작 원리를 더 잘 파악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컴퓨터를 작동시키는 파일이 어떻게, 어떤 경로로 움직이는지 알기 위해 시작됐다. 문제는 악의를 갖고 있는지 여부다. 악의적으로 정보를 빼내기 위해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