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남의 것은 물론 내 것도 더러워서, 만든 즉시 물에 흘려 보낸다.그런데 똥을 신성시하는
문화
가 있었다. 세상의 수많은 존재 가운데 왜 하필이면 똥일까.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세상을 만든 태양신 ‘라’를 섬겼다. 라는 가장 먼저 빛을 만들고 아침마다 크고 둥근 태양을 하늘에 둥실 띄웠다. 고대 ... ...
기술과
문화
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리더십을 갖추려고 하죠.”IDIM 연구실은 기술력을 넘어서 21세기 전 분야에서 요구되는
문화
적인 다양성까지 포괄하는 거대한 소통의 장을 지향한다. 아무리 좋은 지식과 기술을 갖고 있더라도 소통할 수 없다면 무용지물. IDIM 연구실과 같은 국제적인 환경에서 영어 실력을 포함한 의사소통 능력은 ...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감정을 표정으로 더 잘 표현한다고 해.
문화
에 따른 차이도 있는데, 우리나라나 일본 같은 동양 나라에서는 얼굴에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도록 배우기 때문에 표정이 약한 편이야. 반대로 서양인들은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기 때문에 표정도 뚜렷해.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과학을 쉽고 재미있고 친근하게 보고 만져 보고 이야기하고 즐김으로써 창의적인 융합
문화
를 체험할 수 좋은 기회다.다양한 분야를 자유롭게 공부하고 융합하는 것은 창의력의 원천이다. 흔히 지식에 기반한 사회라 부르는 21세기에는 분야 간의 장벽을 허물고 창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특히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봐야 할까. 과연 그녀는 여자선수로 뛸 자격이 있을까. 여기에 대한 대답은 사회적 인식,
문화
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 결정해야겠지만 의학적으로만 대답하면 여성으로 대하는 것이 맞다. 왜냐하면 여자냐 남자냐 하는 것은 염색체가 XX냐, XY냐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난소를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설명했다.학생발명전시회에서 수상한 학생들에게는 여러 가지 특전이 부여된다. 해외
문화
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고 각 대학의 입학전형에 따라 발명특기자로 특례 입학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발명진흥회는 학생들이 창의적인 발명아이디어를 쉽고 재미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조사분석실장전용훈 일본 교토산교대 객원연구원주일우 문지
문화
원 사이 기획실장최정규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눈길이 머무는 이달의 책| 협력의 진화 |로버트 액설로스 지음 | 이경식 옮김 | 292쪽 | 1만 7000원진화론에 따르면 생명은 경쟁을 통해 진화한다. 환경에 ... ...
장구와 북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추측한다. 악기를 만들거나 연주하는 법이 다른악기보다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다.각
문화
권에서 발견되는 고대악기 중에서도 북과 비슷한 악기를 찾아볼 수 있다. 장구는 그 기원이 불분명하지만 고려가요인 한림별곡과 조선시대 음악책인 악학궤범에 ‘장고’라는 용어가 남아 있다.‘장고(杖鼓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각기 다른 소리(음색)를 374개나 낼 수 있다. 동양에서 가장 큰 오르간은 서울 종로 세종
문화
회관에 있는데, 파이프 개수가 8000개를 넘을 정도로 으리으리하다.오르간은 파이프마다 내는 소리가 다르며 한 악기에 많은 파이프가 들어가기 때문에 음끼리 조화를 이루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탄생시키는 일에 큰 관심을 둔다”며 “위험과 실패를 감수하는 사람에 대한 우호적인
문화
가 세티를 지원하는 민간 펀드를 성공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쇼스타크 박사는 일반인들이 세티에 관해 갖는 궁금증에 대해서도 답했다. 그는 “전파를 잡아내려는 지금의 세티가 연구 대상을 헛짚은 것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