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d라이브러리
"
설치
"(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돌돌이, 너는 내 운명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때문에 온도를 잘 맞춰줘야 한다. 사육장 한쪽 끝에 자외선(UVA) 램프(스팟램프)를
설치
하면 여기서 나오는 자외선이 열을 내 램프의 빛이 비치는 곳은 32~35℃ 정도가 된다. 반대편으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온도 편차가 생겨 빛이 미치지 않는 쪽 구석은 26℃다. 돌돌이는 춥다고 느끼면 빛이 비치는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모여 과학전을 한다. 지난 과학전 때는 과학실을 모두 오픈해 각 동아리별로 부스를
설치
했다. 허블반은 지구과학실 천장에 야광스티커를 붙여 별자리를 만들고 망원경으로 학생들이 관찰하게 했다. 창의발명물리반은 레이저의 원리를 이용한 실험을 보여줬다.다양한 체험활동은 어떤 면에서 ... ...
사회적 이슈에서 연구주제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온도를 기록한다.) 3) A비닐하우스는 땅 위에
설치
하고, B비닐하우스는 잔디밭 위에
설치
한다. 4) A비닐하우스와 B비닐하우스 안과 밖의 온도를 30분 간격으로 관측한다. A비닐하우스와 B비닐하우스의 온도는 0.2℃~4.2℃의 차이가 있다. B비닐하우스는 잔디밭 위에 있으므로 식물이 광합성을 해 ... ...
인공위성 수명 연장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붙잡은 뒤 우주무덤에 있는 인공위성을 찾아간다. 나노위성을 재활용할 안테나에
설치
한 뒤 안테나를 떼어 내 목표 위치에 가져다 놓는다. [DARPA의 피닉스 프로그램에서는 무인 정비위성이 수명을 다한 인공위성에 다가가 로봇팔로 안테나를 떼어 내 재활용한다.]우주 개발에 필수적인 ... ...
신기한 광섬유 제작소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이용했다. 빛의 각도변화를 통해 자장의 크기를 역추적할 수 있는 것이다. 광섬유센서는
설치
가 간단하다. 측정 대상에 감기만 하면 된다. 특수광섬유 응용연구실은 이 센서를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수소연료 자동차의 발전기나 컨버터의 전류 변환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하고 있다. ...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예전에는 증거가 부족해서 교통사고가 나면 서로 싸우기 일쑤였다. 지금은 차량에
설치
된 블랙박스의 카메라가 사고 상황을 녹화하니 군말 없이 사고 당사자끼리 협의한다. 기술과 발명이 세상을 바꾼 대표적 예다. 다른 기술의 예를 들어보자. 어떤 학자는 민주주의는 총이 발명되면서 더 빠르게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것은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김 박사는 “터널 내에 외부 공기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치
해, 사고를 감지하면 ‘사람이 숨을 쉴 수 있을 만큼’만이라도 공기를 들여보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화재가 날 경우 공기가 희박해 불이 잘 번지지 않아 오히려 대참사를 막을 수 있다”고 ... ...
구제적인 목표가 열정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하는 것도 의공학이지. 할머니, 할아버지도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이 많아. 집에 레일을
설치
하고 리모콘으로 레일을 움직여서 활동을 편하게 할 수도 있어.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상처받은 사람에게 더 가까이 가는 의공학자가 되는 것도 의미가 있어.” 의학분야를 공부하는 것이 꿈이라면 최근 ... ...
Part 4. 이그노벨상 - 느닷없이 고추냉이 냄새나면 “불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경보음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상 상황을 알리는 ‘고추냉이 경보기’가 집집마다
설치
될지도 모르겠다. 마코토 이마이, 나오키 우루시하타, 히데키 타네무라 박사 등 일본 과학자들은 고추냉이로부터 추출한 매콤한 냄새성분(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을 내뿜는 경보기를 2009년에 개발했고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영역에 아치가 널리 쓰였다.로마인들은 아치형 문을 제외하고도 아치를 길게 연달아
설치
한 구조도 사용했다. 간단히 말하면 터널 같은 구조인데, 아치 모양으로 된 이 터널도 역시 무게를 옆으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무거운 천장을 지탱할 수 있다. 로마인들의 지혜가 다시금 경이롭게 느껴지는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