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뼈 한가운데에는 시
신경
이 지나가는 구멍이 나 있는데 이 구멍이 막혀 있습니다. 시
신경
이 죽었다는 뜻이죠. 왼쪽 뇌도 크게 다쳤습니다. 신체의 오른쪽을 거의 쓰지 못해 오른팔 뼈가 조그맣게 쪼그라들어 있었습니다.하지만 이 화석도 노인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즉 젊어서 크게 다쳐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여자아이가 숨어 들어간 곳으로 따라갔다. 그러자 여자아이가 눈을 세모꼴로 만들며
신경
질을 부렸다.“당신들 뭐야? 왜 날 따라 오는 거야!”“아니, 너 때문에 우리까지 쫓기게 됐잖아. 이쪽은 안전할 것 같아서 들어왔지.”“쉿!”여자아이는 쫓던 사람들이 사라지길 숨죽여 기다리더니, 발소리가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분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또 miR-124는
신경
세포에서만 만들어지는데, 마찬가지로
신경
세포가 정상적으로 분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이크로 RNA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이들은 꼭 필요한 세포에서만 만들어지도록 철저히 통제된다. 만약 이 통제체제에 결함이 생기면 동물의 정상적인 성장에 문제가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등이 있다. (양자 컴퓨터에 대해서는 2011년 10월호 특집 ‘양자역학과 춤을’ 참조).
신경
망 컴퓨팅과 진화 컴퓨팅은 자연현상을 실리콘 컴퓨터에 시뮬레이션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분자 컴퓨팅과 양자 컴퓨팅은 매체(양자와 DNA 분자)의 물리적인 특성을 활용하기 때문에 근본부터 다르다. DNA 기반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부드러운 촉각을 지각하는 필수 물질을 찾아낸 것이다. 촉각은 시각, 5감 중에서
신경
전달 메커니즘과 관련해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영역이다. 잔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간이 어떻게 기쁨과 편안함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이끌어내는지를 밝히는 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것”이라고 ... ...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설명이라고 보면 되겠지요. 음양사상으로 설명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발이나 손의 말초
신경
을 자극해 음과 양의 균형을 유지한다는 겁니다. 설명이 천차만별입니다. 이걸 논쟁이라고 부를 수 없는 이유는 제대로 된 실험과논문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아프면 병원 ... ...
잠자리도 집중력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사람은 한 가지에 집중하면 주변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선택적 주의’라는 능력이 있다. 음식을 먹을 때 숨은 맛까지 찾아내기 위해서 눈을 감는 행위, ... 데 중요한 능력이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뇌
신경
분야에서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혀에 돋아 있는 미뢰가 확인하지요. 청각은 귀로 들어온 소리가 고막과 뼈를 울린 진동이
신경
으로 전달되며 느끼는 감각이고요. 코에 있는 냄새 감지 세포는 후각을 담당하지요. 하지만 촉각은 전달 과정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어요. 이번에 제 몸에서 찾은 단백질이 촉각의 비밀을 풀 중요한 ... ...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친구들은 좋아하는 사람이 생기면 어떤 변화가 생기나요? 아마 계속
신경
쓰이고 관심이 갈 거예요. 저는 작년에 한국에 있는 돌고래 제돌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 어요. 아직도 곳곳에서 벌어지는 불법포획의 문제에 대해 깨달았고 제돌이에게 관심이 생겼답니다. 그런데 마침 이번에 만날 수 있게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아니야.청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전 분명 매운 맛을 느낄 수 있는 걸요.은하수 매운 맛은
신경
세포가 ‘통증’으로 인지하는 신호란다.청 그럼 매운 맛은 맛이 아니라 아픔이라는 것이 옵니까?은하수 우리가 매운 맛을 어떻게 느낄 수 있는지 자세히 설명해 줄게. 자, 여길 보렴. 은하수 이렇게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