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모름지기 ‘히어로’는 슈퍼맨, 배트맨, 아이언맨처럼 8등신 다부진 근육질 몸매에 멋진 슈트를 입어야 제맛! 그런데 여기, ‘히어로’ ... 과학과 수학을 좋아하는 괴짜들의 이야기를 다양한 사건으로 만날 수 있다. 히어로계의 역사를 다시 쓴 슈퍼 영웅 베이맥스의 매력에도 푹 빠져 보자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갸름한 서양인, 넓적한 동양인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교 조디 블루먼펠드 박사는 역사적으로 어떤 식문화를 가졌느냐에 따라 인종별로 턱이 다르게 생겼다고 주장했어요.연구에 따르면 턱이 가장 발달된 사람들은 아시아인이에요.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이나 베트남에서는 예전부터 밥(곡물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알아보려 한다. 교과서적으로 개관된 이론이 아니라 살아 숨 쉬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역사 속의 이론을 다룰 것이다. 또 일반상대성이론이 사상사와 과학문화에 기여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려 한다. 독자들이여, 기대하시길!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시작했다.광시야관측으로 은하 수천만 개의 분포를 알게 되면 우주거대구조가 진화한 역사를 알 수 있다. 아인슈타인이 가정한 중력상수가 우주 전 공간에 적용되는지도 알 수 있다. 이런 노력이 2020년경에는 결실을 맺는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이 발표된 지 올해로 100년. 우리는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오펜하이머그는 이번 인터뷰 중에서 가장 섬세하고 까다로운 인물이며, 또한 가장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일 것이다. 한때 현대물리학의 상징이었고, 정치와 과학이 만나 일으키는 파열음 같은 존재였던 오펜하이머. 인터뷰는 그가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소장이었던 1949년, 그의 방에서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말했다.최강의 ‘버티기’ 실력, 하지만 공해에는 취약해지의류의 특징인 공생 관계는 역사가 매우 오래됐다. 2005년 ‘사이언스’ 논문에 발표된 중국 화석에 따르면, 약 6억 년 전 얕은 바다에서도 조류와 남세균, 균류가 뭉쳐 산, 지의류와 거의 유사한 생물이 존재했다. 육상에 생명이 존재하기 ...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일이다. 레이저 간섭계 우주 안테나(LISA)를 이용해 우주팽창의 역사를 되짚어 보거나, 블랙홀의 중심부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X선을 포착하는 위성을 쏘아 올리는 연구가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지 토론한다. 재밌는 것은 이 모든 우주 사업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논증에 ...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뒷다리 등을 갖추기 시작한 진화 초기에 나타났다는 얘기지요. 또한, 척추동물의 진화 역사상 암컷과 수컷의 외모가 처음으로 뚜렷하게 구별되기 시작했다는 의미도 있었습니다.이 발견은 제게 무수한 영감을 주었습니다. 더 많은 증거를 찾기 위해 유럽과 호주, 그리고 미국에 있는 박물관을 뒤지기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오른 건 바로 오일러 공식이었습니다. 20년이 지나 이번엔 물리학잡지 ‘물리학 세계’에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공식을 뽑아 달라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120여명의 독자가 약 50가지의 공식을 보내왔습니다. 치열한 경합 끝에 오일러 공식이 ‘맥스웰의 전자기학 방정식’과 함께 공동 1위에 올랐습니다 ... ...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동아리 이름도 각자 하나씩 뽑아와 투표로 정했다. 2014년 4월 마침내, ‘펜로즈’의 역사가 시작됐다.출발은 쉽지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흐릿했던 동아리의 목표였다. 수학과 과학이 합쳐진 융합 동아리를 만들자고 했지만, 갓 태어난 ‘펜로즈’에겐 버거운 일이었다. 처음 해보는 동아리 운영도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