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동"(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새끼에게 줄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왕복 4000km를 이동해요. 그런데 연구 결과, 이만큼 이동해서 물고 온 먹이가 고작 플라스틱 병뚜껑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해요! “알바트로스 같은 바다 생물은 플라스틱을 위험한 물건이 아닌, ‘먹이’로 착각하기 쉬워요. 심지어 플라스틱을 새끼에게 나눠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바탕으로 0.5버전의 메가무비를 만들어 유튜브에 공개했어요. 미국 대륙을 따라 태양이 이동한 순서대로 개기일식의 모습이 담겨 있지요. 이 자료는 무료로 공개되 교육 및 연구 자료로 사용될 거예요. Q. 앞으로 계획은 무엇인가요?2019년 7월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다음 개기일식이 있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공기를 계속 밀어내면서 점점 더 압축시킨답니다. 이렇게 압축된 공기는 연소부로 이동해요. 실제 제트엔진의 연소부에는 연료와 섞여 폭발이 일어나지만, 모형에서는 안전을 위해 폭발이 일어나지 않아요. 그 대신 나머지 부품들은 실제와 최대한 비슷하게 재현했지요. 연소부의 핵심 부품은 ... ...
- Part 4. 로프 없는 엘리베이터, ‘MULTI’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움직일 수 있게 됐어요. 위아래 방향인 레일을 좌우방향으로 돌리면 멀티는 옆으로도 이동할 수 있거든요. 최근 고층 건물들은 여러 건물이 이어져 있어 좌우로도 매우 넓은데, 멀티를 타면 멀리 떨어진 건물까지 한 번에 갈 수 있지요. 엘리베이터가 위아래뿐만 아니라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뿔제비갈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이 새는 ‘뿔제비갈매기’로, 지구상에 100마리도 남지 않은 멸종위기 종이지요. 먹이나 이동 경로, 수명 등 생태에 관한 정보가 거의 없어 ‘신비의 새’라고도 불린답니다. 지난해 4월 뿔제비갈매기 5마리가 우리나라 전라남도의 한 무인도를 찾아왔어요. 그중 1쌍이 번식에 성공하여 어린 새 ... ...
- Part 3. 인공지능으로 똑똑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모여 있게 되지요. 그리곤 따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근무하는 층까지 자동으로 이동한답니다. 이 시스템은 사람이 몰리는 출근 시간에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주고, 회사에 외부인이 들어오는 것도 막을 수 있어요. 한 발 더 나아가 사람의 동작을 읽는 엘리베이터도 있어요. 미국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별 등 천체를 관측할 수 없었지요. 하늘소는 야행성에 불빛을 쫓는 습성이 있어요. 이동할 때는 밤 하늘의 천체를 기준으로 방향을 파악한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즉, 7월 15일 이후 서울 하늘에서 천체를 볼 수 없게 되자 북한산에 있던 하늘소가 불빛을 따라 도시로 날아온 것으로 보여요. 그 결과 ... ...
- Intro. 불빛을 따라 도시로 왔다?! 하늘소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친구들은 다음에 소개해야겠어. 오늘 밤 친구들과 함께 북한산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해야 하거든. 그곳이 어디냐고?궁금하면 나를 따라와 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불빛을 따라 도시로 왔다?! 하늘소의 습격Part 1. 하늘소, 서울을 습격하다!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엘리베이터의 역할을 할 50cm 크기의 초소형 위성을 제작했지요. 이 위성이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아볼 예정이랍니다. Q. 어린이들에게 한마디 해 주세요!우주 엘리베이터에 대한 연구는 이제 막 시작되었어요.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는 만큼 우주 엘리베이터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입력해 이동 경로를 추정했답니다.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이렇게 러버덕들의 이동 경로를 분석한 결과, 북태평양 환류의 순환 주기가 3년 정도란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답니다. “해류! 해류였어! 1432년에 해류를 멈추려고 누군가가 바닷물을 막았나 봐!”족보의 첫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