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멸종을 눈앞에 둔 북부 흰코뿔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다시 만날 방법은 없을까? 파투, 나진 : 사람들은 수단이 죽기 전에 채취한 유전물질로
인공
수정을 시도하려 했어. 하지만 검진 결과 우리 파투와 나진은 이제 자손을 낳기 힘들다고 해. 그래서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사파리 공원의 연구자들은 2017년부터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기 시작했어. ... ...
Part 1.
인공
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잃어버린 도시를 찾아라Part 1.
인공
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Part 3. 피라미드 속 비밀의 방을 찾아라 ... ...
[시사기획] ‘로켓의 심장’ 154.21초간 타오르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성능을 확인하는 게 주요 목적인만큼 1단에는 75t급 액체엔진 1기만 달린다. 2단에
인공
위성과 같은 탑재체도 싣지 않는다. 실제 발사체가 아닌 만큼 단 분리가 일어나지도 않는다. 탄도비행 뒤 나로우주센터에서 약 400km 떨어진 해상으로 자유낙하한다.장영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10~20Hz의 진동수로 자극했다.루크 오스본 존스홉킨스대 의대 연구원은 “현재 개발된
인공
보철물에는 통증을 느끼는 기능이 없다”며 “통증은 불쾌하지만 몸의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감각”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로보틱스’ 6월 20일자에 실렸다. 생각대로 움직이는 바이오닉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미국 연구팀이 올해 1월 처음으로 쥐의 내이 줄기세포를 이용해 머리카락이 자랄 수 있는
인공
피부를 만들었다.이지윤 미국 인디아나대 의대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 박사후연구원과 칼 쾰러 교수팀은 쥐의 내이 줄기세포를 배지에 배양해 3차원 공 모양의 피부 오가노이드를 생성했다. 생성된 피부 ... ...
[Issue] AI는 인간의 ‘후배’인가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논어’에서 공자는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을 남겼다. ‘뒤에 난 사람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나이가 젊고 의지가 강한 후 ... 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
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
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hongsikjeong@tsinghua.edu ... ...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미래 에너지 개발 주역 꿈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로, 태양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리와 같기 때문에 ‘
인공
태양’이라고도 불린다. 플라스마는 핵융합발전을 위해 필요한 요소지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산업계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한국의 핵융합 연구 수준은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 ...
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잃어버린 도시를 찾아라Part 1.
인공
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Part 3. 피라미드 속 비밀의 방을 찾아라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것처럼
인공
생명체를 창조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전에 우리가 먼저 해야 할 일은
인공
생명이 우리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진지한 토론입니다. 무엇보다 창조물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요 ... ...
[과학뉴스] 302g 초미숙아, 169일 만에 퇴원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장염을 막기 위해 매일 모유 수유가 이뤄졌다.그 결과 몸무게가 600g정도로 자랐을 무렵
인공
호흡기를 뗐으며, 많은 위기 상황 속에서도 단한 번의 수술 없이 3kg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서울아산병원 신생아과 과장 이병섭 교수는 “이 양의 사례를 통해 국내 초미숙아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리길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