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혜성 탐사선 ‘로제타’ 2014년 연구 성과 1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인류 최초로 혜성에 탐사로봇 ‘필레’를 착륙시킨 탐사선 ‘로제타’가 국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2014년 10대 연구 성과 중 1위를 차지했다(아래 사진). 사이언스 12월 19일자에는 올해 주목 받은 10대 연구 성과 전체 목록이 공개됐다.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로제타는 2004년 3월 지구를 ...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네덜란드 라이덴대 생물학과 조세핀 주덴스 박사팀은 120년 전인 1890년대에 독일 고인류학자 외젠 뒤부아가 인도네시아 자바 섬의 50만 년 전 지층에서 발굴한 민물 홍합 껍질 화석을 연구했다. 이 화석 안에는 뾰족한 물건으로 그은 듯한 길이 1cm의 미세한 선이 있었는데, 마치 톱니 끝처럼 지그재그 ...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참인 ‘공리’와 ‘정리’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공리와 정리는 지구가 사라지고, 인류가 흔적도 없이 사라져도 변하지 않는 진리다.탄탄한 수학의 세계에서 피노키오는 딸꾹질을 할 일이 없다. 굳이 거짓말을 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딸꾹’ 아니, 근데 ‘딸꾹’ 왜 자꾸 딸꾹질이 나오는 걸까? ... ...
- 로제타, 혜성 착륙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우주 탐사선이 혜성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한국 시각 11월 13일 새벽 1시 3분, 유럽우주국 관제센터는 혜성탐사선 ‘로제타’로부터 분리된 탐사 로봇 ‘필래(위 사진)’가 혜성 ‘67P(아래 사진)’에 무사히 안착했다고 밝혔어요.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67P는 ... ...
- 탐사 ➌ 삼엽충과 공룡은 서로를 알지 못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쥐라, 백악 이렇게 세 개의 기로 나눠지지요. 신생대는 다시 제3기와 제4기로 나눠요. 현생인류는 제4기에 출현해 지금까지도 살고 있지요. 이 복잡한 여러 시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아요. 그럼 무엇을 근거로 이런 시대를 구분할까요? 우리가 지금 달력을 만들고 연도를 구분하는 것처럼 당시 ... ...
- 밀 VS 보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들어온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맥류밀과 보리, 호밀, 귀리 같은 맥류 곡물은 예로부터 인류의 주요한 먹거리였어요. 맥류는 전부 벼과에 속하는데, 그 생김새가 모두 비슷해서 처음 보는 사람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답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보리는 수염이 길고 빳빳한 반면, 밀은 수염이 짧고 ... ...
- 도심의 숨구멍, 환풍구를 안전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2호
- 2014년 10월 17일, 집에서 텔레비전을 보다가 깜짝 놀랐지 뭐야!평소 자주 지나다니던 환풍구에서 무서운 사고가 난 거야~. 그 뒤부터 환풍구만 보면 깜짝깜짝 놀라는 버릇이 생겼어. 생각없이 올라갔던 과거를 생각하면 등골까지 서늘…. 보도를 떡 하니 차지하고 있어서 피할 수 없는 거대 환풍구는 ... ...
- 2014 노벨 과학상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나카무라 슈지 교수(맨 오른쪽)가 받았어요. 이들은 파란색 발광다이오드(LED)를 만들어 인류에 공헌했답니다. LED는 백열등보다 약 18배 밝고 수명도 약 100배나 더 길어 경제적이에요. 그런데 LED의 하얀 빛을 내려면 빨강, 초록, 파랑 빛이 모두 필요해요. 이 중 빨강, 초록빛은 1960년대 개발됐지만, 파랑 ...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266개나 된다. 같은 사람이라도 양쪽 눈의 홍채 조직 패턴이 다르다. 입술지문1900년대 한 인류학자가 입술의 점막, 가장자리의 땀샘, 주름 등의 특징을 밝혀내 ‘입술지문’이란 표현이 생겼다. 입술지문은 수정란이 분리된 뒤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도 다르다. 지문태아가 엄마 뱃속에서 ...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266개나 된다. 같은 사람이라도 양쪽 눈의 홍채 조직 패턴이 다르다.입술지문1900년대 한 인류학자가 입술의 점막, 가장자리의 땀샘, 주름 등의 특징을 밝혀내 ‘입술지문’이란 표현이 생겼다. 입술지문은 수정란이 분리된 뒤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도 다르다.지문태아가 엄마 뱃속에서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