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수증기가 온실 안으로 들어가게 만들어서 온실의 온도를 높이고, 습도까지 적당하게 조절했단다. 조상들이 지혜가 정말 놀라워~. 비밀 ➌ 한지 + 기름보통 온실하면 유리나 비닐로 만든 온실이 떠오를 거야. 그런데 투명한 유리판이나 비닐이 없던 조선 시대에 도대체 무엇으로 온실의 창을 만든 ... ...
-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2년 05호
- 바닷가재 통발을 놓는 규칙과 순서 등에 대한 자치 규율을 만들어 바닷가재 잡는 양을 조절했다. 이 결과 다른 지역이 남획으로 바닷가재가 완전히 사라졌을 때, 이 곳만은 어장을 유지할 수 있었다.게임이론에선 경제활동에서 일어나는 경쟁과 협력, 그리고 배신을 수학적으로 보여 준다. 사람의 ...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하지만 지금까지 분석한 결과로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찾지 못했다. 한편 면역계를 조절해 항염증효과를 보이는 유익한 장내미생물인 페칼리박테리움 프라우스니치이(Faecalibacterium prausnitzii)의 경우는 장내 분포에서 개인차가 있었지만 장유형과는 상관관계가 없음이 밝혀졌다. 장수촌 사람들은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재빨리 계산한다.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ATPT 장치가 해중터널의 각 지점에 있는 앵커링을 조절한다.힘을 받는 방향과 시간을 계산해 정확히 반대 방향의 추진력을 발생시켜 안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또 텐션렉 중간이나 앵커링 부분에 외부 힘을 천천히 전달하는 진동 흡수 장치(댐퍼)를 설치한다. ... ...
- Part4. 인삼 약효도 장내미생물 덕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밝혀졌다. 이들 미생물은 인체에 여러가지 방식으로 도움을 주는데 특히 면역계를 조절해 1형 당뇨병 같은 자가면역질환의 위험성을 낮춰준다. 즉 은행잎 추출물의 약효 가운데 일부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즉 유익한 장내미생물의 증식과 활동을 돕는 물질로 기능함으로써 얻어진다는 말이다 ...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다른 레이저 시설에서는 볼 수 없는 대구경 고속 스위치가 있다. 이 스위치는 편광을 조절해 나노초 수준의 빠르기로 빛을 통과시키기도 하고 반사시키기도 한다. 이 스위치 덕분에 한 번 만들어진 레이저는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주증폭기를 4번이나 왕복할 수 있다. 레이저를 만드는 효율이 4배 ...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꽃의 모양, 가시의 많고 적음, 개화 시기는 물론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 등 다양한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매력적인 눈매, 오똑한 콧날, 갸름한 턱을 가진 성형미인처럼 사람들이 원하는 형질만 가진 맞춤 꽃을 만드는 ‘꽃성형외과’에 가 보자![야생장미인 찔레(왼쪽)와 해당화.]꽃의 쌍꺼풀수술,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몸에는 사람 뇌 같은 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비롯해, 팔과 다리, 손가락 등 각 부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컴퓨터가 많이 들어가. 또 로봇이 사람처럼 움직이고, 보고, 들으려면 수많은 센서가 필요해. 사람의 피부와 눈, 코, 귀에 분포한 각종 감각세포가 정보를 수집하듯 로봇도 온몸에 부착된 센서로 ...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축을 회전시키면 나사 모양으로 된 홈을 따라 물이 올라옵니다. 오늘날에도 하수와 홍수 조절에 널리 쓰이고 있지요.이 밖에도 지레와 도르레, 바퀴와 축, 경사면 등 40개가 넘는 발명품을 만들었습니다. 이만 하면 공로상 탈 만하죠?수학적인 안목을 갖춘 화가이자 발명가레오나르도 다빈치(1452.4~151 ... ...
- 100배 더 정확한 핵 시계 등장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추로 사용한다. 연구진은 레이저를 이용해 전자가 도는 방향을 매우 특수한 방법으로 조절했다. 이를 통해 원자핵 주위를 회전하는 중성자를 시계 추로 사용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원자시계가 아닌 이른바 ‘원자핵 시계’의 탄생이다. 중성자가 전자보다 원자핵에 가깝게 연결돼있기 때문에 외부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