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구별돼야 한다. 동영상을 이루는 수많은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핑거프린트가
핵심
정보만 포함할 수 있게 크기를 줄여야 한다. 다른 장면들과 구분되는 장면만 찾아 중복되는 정보를 제거하고 특징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핑거프린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정리한다.그렇다면 핑거프린트를 ... ...
팔방미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동선을 짜는 것이 필요한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
적인 역할을 한다. 보노로이 다각형의 모서리가 분할된 공간에서 최단 경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이처럼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생활 속 곳곳에서부터 첨단 연구까지 무척 다양한 곳에서 활약하고 ... ...
전력거래소 탐방 블랙아웃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상황실에 가다!상황실은 전국의 전기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전력거래소의
핵심
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모두 6명의 사람이 항상 눈을 떼지 않고 혹시나 있을 위험을 확인하고 있다. 또 핫라인을 설치해 빠르게 위기를 관리하고 있다. 핫라인에는 청와대, 국무총리실, 지식경제부,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갖다놓으면 된다”며 “그러나 이번 실험은 어떻게 국지적으로 조종할 수 있을까가
핵심
”이라고 설명했다. 별도 훈련 없이도 장비만 동물의 몸에 부착해 바로 조종하는 시스템을 고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안경 쓴 물고기를 조종해 해저를 보다연구팀의 최종 목표는 물고기를 원하는 대로 ... ...
촉감만으로 물질을 구별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피부 표면에는 진동도 느낄 수 있도록 지문을 새겨넣었다. 바이오택이 물질을 구분하는
핵심
원리는 진동 감지와 수학적 모델인 ‘베이즈 정리’다. 우선 진동 감지는 손가락 안쪽에 설치된 청음기로 한다. 로봇 손가락이 물질을 스치면 피부가 다양한 형태로 진동하는데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개조’ 방식이 유행이라네요?ETEM은 표본을 두는 곳에서 새나오는 기체를 붙잡는 것이
핵심
이에요. 그런데 스테이지 개조 방식에서는 전자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기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아놓았어요. 기존의 전자현미경을 약간만 개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성공 확률이 낮다는 ... ...
세상을 밝히는 등불처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성과가 비추는 빛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노력을 다하고 있다. 최근에는 5세대 통신의
핵심
요소 기술이 될 ‘단말간 직접 통신’이라는 새로운 연구를 시작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제자들 그리고 부호 및 암호 연구실의 후배들이 자신만의 새로운 등불을 키워나가길 바란다 ... ...
딱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10배나 늘었지 뭐야. STEAM은 단순히 다섯 과목을 한 번에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야. STEAM의
핵심
은 바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지. 문제를 푸는 연습을 꾸준히 한다면 그런 능력을 쉽게 기를 수 있을 거야. 직접 자르고, 붙이며 만드는 교구가 있다면 훨씬 재밌겠지? 안녕? 난 딱스 1호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리더십 등이 필요하다.수학을 좋아하고 연구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도전해 보자.
핵심
기술인 만큼 진출할 수 있는 분야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학문적인 성취감이 큰 분야다.[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노종선 교수의 부호 및 암호 연구실 연구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큰 역할을 한다. 즉 우주의 진화과정에 다방면으로 얽혀 있는, 우주를 이해하는 데
핵심
적인 천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수수께끼투성이이기는 하지만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거대질량 블랙홀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의 결과가 매우 기대된다.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