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요한 보데가 밝혀낸 ‘티티우스-보데의 법칙’입니다.태양에서 토성까지의 거리를 100이라고 가정하면 태양으로부터 각 행성이 떨어져 있는 거리는 평균적으로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그런데 이 수들이 왜 등비수열이냐고요? 이제 각 수에서 4를 빼 보겠습니다. 그러면 순서대로 수성은 0, 금성은 3,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은 힘이다!”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인들에게 과학은 말 그대로 ‘로망’이었다. 과학은 서구 문명 발전을 이끈 힘으로 인식됐으며, 이 때문에 많은 이들이 과학으로 대중을 계몽하고자 노력했다. 표본을 모아 전시회를 개최하고, 강연회를 열어 사람들에게 과학의 중요성을 알렸다. 하지만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운동했다”고 그는 당시를 회상했다. 벤치프레스 머신에서 200kg의 바벨을 들어 올렸고, 100kg짜리 바벨 운동은 40회까지도 거뜬했다. 체내에서 동화작용을 하는 스테로이드 덕분이었다.동화작용이란 몸속에서 지방을 태우고 단백질(특히 근육) 합성을 촉진해 전반적인 신진대사율을 높이는 작용이다.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있다. 스마트폰의 축전기를 구성하는 기존 투명전극 소재의 경우 전기 민감도가 낮아 약 100kHz의 신호를 송수신에 사용했다. 문제는 화면에서 수십~200kHz의 주파수를 가진 빛이 꾸준히 생긴다는 것이다. 신호가 중첩돼 제대로 지문을 인식할 수 없는 셈이다.2018년 7월 박장웅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 [수학뉴스] 꿀벌도 더하기·빼기 이해한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때 설탕물을 주는 방식으로 가르쳤죠. 이렇게 꿀벌 14마리에게 더하기와 빼기를 각각 100번씩 훈련시킨 뒤 설탕물과 퀴닌을 없애고 실험한 결과 더하기는 약 70%, 빼기는 약 66% 확률로 알아맞혔습니다. 연구를 이끈 스칼렛 하워드 연구원은 “인간 외에도 다양한 동물의 뇌가 복잡한 수학 개념을 ... ...
- [과학뉴스] 체온 따라 열 조절하는 섬유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사이의 전자기 결합이 바뀌어 적외선 투과성이 변한다. 평소 20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다가 온도나 습도가 올라가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10μm 이내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전자기 결합이 바뀌는 것이다. 10μm 파장의 적외선은 우리 몸이 ...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구이저우성 산싱 동굴의 석순에 포함된 자기장 기록을 분석한 결과, 10만7000년 전에서 9만1000년 전에는 100~200년의 짧은 시간에도 지자기 역전이 일어났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미래에 이런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다면 인공위성이나 지구 생명체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doi:1 ... ...
-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질문에 전체 중학생 51만4710명 중 4만505명(7.9%)이 ‘자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중학생 100명 중 8명꼴로 자해를 하고 있는 셈이다. 고등학생은 45만2107명 중 2만9026명(6.4%)으로, 중학생보다는 비율이 낮았다. 자살 시도와는 다른 ‘비자살성 자해’홍현주 한림대 자살과학생정신건강연구소장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2.8m의 원통형 구조다. 내부에는 12개의 랙(rack)에 864대의 서버, 27.6PB(페타바이트·1PB는 100만GB) 용량의 스토리지, 냉각 시스템 등이 탑재됐다. 실험 단계라 큰 규모는 아니지만, 500만 편의 영화를 저장할 수 있는 정도의 용량이다. 이외에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광케이블이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유명한 사분의자리 유성우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보통 시간당 100~120개의 별똥별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유명한 유성우라도, 요즘 밤하늘에서 이렇게 많은 수의 별똥별이 떨어지는 걸 관측하기는 쉽지 않다. ZHR은 날씨가 맑고, 주위에 불빛이 없는 여러 조건이 충족된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