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뉴스
"
단점
"(으)로 총 1,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진국 독식하던 자동차 핵심부품 국산화 이뤘다
2015.02.02
만들었는데, 무게가 많이 나가 연료소모가 많고, 작동을 시작할 때까지 시간이 지연되는
단점
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타이타늄알루미나이드(TiAl)란 이름의 합금 대체 소재가 개발됐지만 일부 외국 기업만 이 기술을 독점적으로 사용해왔다. 게다가 가격이 기존 제품에 비해 ... ...
액정 모니터는 네모에 딱딱하다고?
2015.01.29
됐다. 하지만 접거나 구부릴 수 없어 미래형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하기엔 어렵다는
단점
때문에 과학 및 산업계에선 그래핀 등 신개념 소재를 다방면으로 연구해오고 있다. 연구팀은 우선 액정을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콜레스테릭 액정’ 형태로 만들었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 ...
비싼 인듐 대신 값싼 은나노선 썼더니 대박!
2015.01.21
투명전극은 주로 인듐을 소재로 사용했는데, 값이 비싸고 자유자재로 휘어지지 않는
단점
이 있었다. 연구진은 투명하고 전기가 잘 통할뿐 아니라 구부러지는 특성이 좋은 전극을 만들기 위해 은나노선에 주목했다. 은나노선으로 전극을 만들면 세 가지 특징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
차세대 금속 ‘마그네슘’ 환경오염 없이 생산
2015.01.14
공기와 빠르게 반응하는 활성금속이라서 제조과정에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높은 것이
단점
으로 꼽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과정에서 육불화황(SF₆)이나 베릴륨(Be)을 사용해 안정화 시킨 ‘난연성 마그네슘’이 개발됐지만 환경오염이 문제로 지적됐다. 육불화황은 이산화탄소의 2만 ... ...
이번엔 무슨 그래핀? ‘포스트 그래핀’!
2015.01.09
물질의 크기에 따라 대면적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천 교수는 “2차원 금속 칼코겐의
단점
이었던 어려운 제작공정을 쉽고 간단하게 만든 데 의의의가 있다”며 “5년 후면 이 물질이 발광다이오드(LED),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바이오센서 등에 활발히 이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 등이 앞서 나가고 있다. 이 인공눈은 기존 시스템의
단점
인 수술 부담을 크게 줄였다. 지금까지는 인공눈 센서를 이식하려면 눈 뒤편 망막에 직접 시신경을 연결해야 했다. 수술을 통해 눈동자에 직접 신경 자극기와 무선 수신기 같은 부품을 이식했지만 수술에 따른 ... ...
에볼라 백신 임상 1상 첫 통과
2014.12.30
항체가 피시험자 중 57%에게서 발견됐다. 단, 접종 후 11개월이 지나면 항체가 사라지는
단점
이 확인됐다. 개발된 백신은 우간다 국적의 사람들에게 별 다른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버그 백신을 접종한 피시험자 1명에게서만 심각한 호중구감소증이 발견됐다. 호중구감소증은 백혈구의 ... ...
자석으로 DNA 이중나선 10분 안에 푼다
2014.12.29
나노구조가 형성되는 원리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만드는 데 너무 오래 걸린다는
단점
이 있었다. 윤 교수팀이 개발한 DNA 나노구조 제작 방식의 모식도. 자석의 힘을 이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 KAIST 제공 윤 교수팀은 지금까지 열처리를 해서 똘똘 뭉쳐 있는 DNA를 풀어낸 뒤 나노구조를 만드는 ... ...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까칠한 당신이 선물 받긴 더 좋다
2014.12.24
구입하는 경우도 많았다. 하지만 호불호가 분명한 경우 선물을 아예 못 받을 수 있다는
단점
도 있다. 조사 결과 까다로운 사람에게 선물하는 사람은 선물을 고르는 부담감 때문에 ‘선물하는 기쁨’을 느끼지 못했다. 결국 적합한 선물 고르기에 실패한 나머지 상품권을 사거나 아예 선물을 ... ...
‘궁극의 디스플레이’
단점
, 기술로 극~복~
2014.12.22
국내 연구진이 ‘양자점(quantum dot)’ 발광소자의 효율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을 찾았다. 양자점은 지름이 1~20나노미터(nm)의 둥근 반도체 입자다. 양자점은 화학적 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색 순도가 우수해 ‘궁극의 디스플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