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5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성·노인·기저질환자가 코로나19에 특히 취약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취약한 바이러스가 달라질 수 있는데, 코로나19의 경우 바이러스 특성상 어린이 호흡기
세포
는 쉽게 침입하지 못 하기 때문으로 추측하기도 했다. 성인보다 어린이에게 잘 전염되며 중증을 일으키는 수족구바이러스와 반대 성질을 가졌다는 얘기다 ... ...
미 제약사, 코로나19 첫 백신 개발…4월 첫 임상시험
연합뉴스
l
2020.02.25
첫 임상시험을 한다는 것은 의심할 것 없이 세계 최고 기록"이라고 밝혔다. 과거에는
세포
배양이나 알에서 키운 바이러스 단백질을 활용해 백신을 개발했고, 동물 실험을 거쳐 인체 실험을 하기까지 수년이 걸렸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와 민간 영역의 투자 아래 백신 기술이 진일보하면서 ... ...
"지하철 탈까 말까" 일상을 공포로 만든 코로나19 바로 알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2.24
공개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간
세포
표면에 나 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해
세포
내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음식물을 통해 전파됐다는 증거는 없다. 코로나19는 입이 아니라 콧구멍이나 눈의 점 등을 통해 바이러스가 칩입하는 호흡기 감염 ... ...
[팩트체크]"콧물 나면 코로나19 아닌 감기?" 공포감 속 가짜뉴스·가짜권고 판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4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정훈 마크로젠 임상진단사업부문 상무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에 침입해 증식하고 다른 숙주를 찾아나갈 때 필요한 핵심 단백질을 만드는 서열에 변이가 생기면 바이러스의 전파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바이러스에 나타나는 변이의 양상과 양은 제한적"이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뒤틀린 신경 키워 성장 발판으로 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2
토대로 신경 밀도가 암 예측의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연구팀은 암
세포
가 아드레날린성 신경을 이용하는 만큼 이 신경을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 고혈압 치료제 ‘카베딜롤’을 생쥐에게 투입했다. 그 결과 생쥐의 종양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아미트 교수는 “뉴런은 우리가 ... ...
“코로나19 무증상 감염 인정”...中 확산 초기 기록 누락 ‘도마'에
동아사이언스
l
2020.02.21
것은 아니다”며 “인후나 코 면봉에서 바이러스를 탐지하지만 일부 사례의 경우 체
세포
에 들어가지 않고도 바이러스가 복제를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러스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지만 실제로 감염되지 않았거나 무증상 환자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 ...
獨 과학자들 "무증상 때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무증상 감염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0.02.21
백신연구그룹 연구원은 NBC 뉴스에 출현해 “바이러스가 살아있어
세포
분열이 가능하며
세포
를 감염시킬 수 있다는 정도의 의미”라며 “사람을 감염시킬 만한 정도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명서를 통해 “증상이 없이도 전염이 가능하다는 ... ...
[코로나 사태 한 달]어렵고 갈 길 먼 코로나19 치료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시도하고는 있지만 연구가 필요하다"며 "항바이러스제를 만들려면 우리 면역계에서 어떤
세포
와 물질이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역할을 하는지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의 약점이 무엇인지 알아야만, 그 부분을 파고드는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마크로젠-서울대병원 "코로나19 바이러스 9개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지역에 거주하다 국내 입국 후 코로나19로 확진된 환자의 호흡기 샘플을 채취하고 이를
세포
에 접종해 바이러스 순수 배양에 성공했다. 증식한 바이러스를 투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 끝이 왕관처럼 뾰족한 모양으로 동그랗게 형성된 코로나19 입자를 확인했다. 이후 NGS를 활용해 코로나19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
2020.02.19
할 숙명적인 과제다. 외부에 노출된 바이러스는 소독제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의
세포
속에 있는 바이러스에게는 아무리 효과적인 소독제도 무용지물이다. 실제로 지나치게 청결한 위생 환경이 오히려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역설적인 ‘위생가설’도 있다. 홍콩‧싱가포르‧태국에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