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리
추측
추론
추단
결론
가정
어림
스페셜
"
추정
"(으)로 총 1,5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영장류 가운데 사람만이 정교한 음성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데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추정
했다. 언어 유전자라는 말이다. 당시 연구를 이끈 독일 막스프랑크연구소의 스반테 페보 박사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호모 사피엔스가 다른 호모속 인류를 멸종시키고 살아남은 것도 호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불과하다. 청자고둥의 경우 독액을 지닌 700여 종에 들어있는 펩티드가 10만여 가지로
추정
되는데 현재까지 실체가 확인된 건 0.1%도 안 된다. 독성 펩티드가 1000만 가지 이상 존재할 것으로 보이는 거미류의 경우는 0.01%에도 못 미친다. 독샘의 펩티드 유전자 전사체(transcriptome) 분석과 독액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정부는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2018~2022)을 확정해 발표했다. 2022년 비만율(41.5%
추정
)을 2016년 수준인 34.8%로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먹방 규제’가 부각되면서 논란이 됐고 국가가 국민의 뱃살까지 간섭하느냐는 비난도 일었다. 리버먼 교수는 책에서 이런 개입이 불가피하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없는 GRAS(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보는 물질)로 분류돼 있다. 연간 생산량이 3만 톤으로
추정
된다. 이렇게 평범한 물질이 효과가 크면서도 별다를 부작용이 없는 이상적인 다이어트약일 수 있다는 게 놀라울 뿐이다. 필자는 건강보조식품 사이트에서 ‘succinate’를 검색해봤는데 없었다. 아마 수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기능을 하는 유전자도 400개 가까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람 유전자를 10만 개로
추정
하던 당시 유전자의 0.4%가 여전히 후각에 할애돼 있다는 사실은 뜻밖이었다. 그런데 2000년 인간게놈 해독으로 유전자 개수가 10만 개가 아니라 2만여 개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사람들은 경악했다. 사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500그램을 상한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인당 연간 적색육 소비량(2016년
추정
치)인 34.8kg(소고기 11.5kg, 돼지고기 23.3kg)을 52로 나누면 일주일에 670그램으로 상한값을 훌쩍 넘어선 상태다. 건강을 위해 육류섭취량을 줄이라고 권해도 된다는 말이다. 세계암연구재단은 적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감소와 질병 등으로 개체수가 크게 줄어 오늘날 야생 코알라는 33만 마리 수준으로
추정
된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도금양과(科) 나무인 유칼립투스는 속씨식물로는 가장 큰 종류로 유칼립투스속(屬)에 700여 종이 있고 대부분 호주에 분포한다. 키가 60미터 넘게 자라는 종도 있다. 코알라는 이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보이는 건 10마리 내외였지만, 김미연 연구원은 약 30마리의 무리가 함께 있을 거라고
추정
했답니다. 남방큰돌고래 무리들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4호 제공 ● 관찰하기! 수십 마리 남방큰돌고래를 구분하는 비결은? “저기 제돌이가 있네요.” 김미연 연구원이 남방큰돌고래 무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어렵다. 연구자들은 깃편모충류가 박테리아를 잡아먹을 때 TLR이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
했다. 사실 깃편모충류 여러 종은 때에 따라 쉽게 군체(colony)를 만드는데, 이 과정에서 이 유전자들이 관여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살핀고에카(Salpingoeca rosetta)라는 종은 먹이인 알고리파구스 박테리아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별이 대략 2500억 개 있고 관측 가능한 우주 안에 은하가 1000억 개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
된다. 여기에 있는 별을 다 합쳐도 전체 가시 물질의 7%를 차지할 뿐이다. 이 별들 가운데 덩치가 작은 것들을 빼면 결국 최후에는 폭발해 사방으로 흩어진다. 은하 역시도 안정한 구조가 아니라 다른 은하나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