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드로메다 은하계서 두개의 핵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가스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거의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조만간 천체관측기술의 진
전
과 함께 사정이 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라우어박사와 파버박사는 안드로메다에서 새로 발견된 사실에 두가지 설명을 제안하였다. 그 하나는 보다 밝은 쪽이 안드로메다에 의해 삼켜진 작은 은하계의 잔재라 ... ...
열 받아야 글씨가 보이는 잉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위에는 아무런 표시도 남지 않게 됩니다. 이 종이를 뜨거운 열원 위에 가져다 대면, 조금
전
에 그린 글이나 그림이 요술처럼 파란색을 띠면서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 종이를 다시 상온에서 잠시 방치하면, 파란색으로 보이던 글이나 그림이 사라지기 시작합니다. 사라져가는 글이나 ... ...
화학 - 자연의 복잡한 물질분리, 필요한 화합물 재구성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있어서 거기에 충돌한 분자를 흡착하게 된다. 분자는 결합에 사용하고 있는 원자가
전
자를 이용해 고체표면에 흡착한다. 이때 분자의 결합 이 현저하게 약화되기 때문에 작은 에너지만으로도 흡착된 분자의 결합을 파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응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만일 철 촉매가 없다면 결합을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
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우주는 존재하는 것이다. 어느날 갑자기 우주
전
체에서 시계가 사라진다해도 지구는 여
전
히 태양 주위를 돈다.물질이 없는 공간은 존재하지 않고 단지 물질이 존재하는 영역만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우주의 물질이 모조리 사라지는 순간 우주는 그의 존재 자체가 사라지는 것이다. 바로 이런 ... ...
아이 엎어 재우면 돌연사 위험 크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설명이 불가능한 갑작스런 아이의 죽음' 유아돌연사. 사후 부검을 해도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던 이 증후군이 잠잘 때의 자세와 관계가 깊다는 ... 것인가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며 "작은 모집단의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과를
전
체에 추정해 적용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컴퓨터 과학은 이제 자기증식이 가능한 인공생명을 탄생시키는 연구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
전
하고 있다. 21세기 중반에는 창발적 행동이 가능한 '생명기계'가 탄생할지도 모른다.생물처 ... 단계이지만 21세기 중반까지는 스스로 증식하고 진화하는 기계를 창조하게 될 것으로
전
망된다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오
전
9시가 돼도 인천에서는 배가 뜨지 않았다는 소식뿐이었다. 그래도 좌담회는 일단 오
전
에 하기로 했다. 면사무소 회의실에서 2시간 동안 모두 진지한 표정으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먼저 조류에 대해 1시간동안 원교수와 질의응답식으로 탐사를 결산했고, 이어서 1시간동안 식물에 대해 박교수와 ... ...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자리잡고 있는데, 이것은 행성들이 하늘을 이리저리 방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이 회
전
하는 띠 안에 머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띠를 황도대(黃道帶, zodiac)라고 부르며 약 16˚의 폭을 가지고 있다. 그 중심이 황도다.행성들이 하늘을 가로 지르는 경우에 관해서 알아두지 않으면 안되는 ... ...
태양계의 끝은 1백80억㎞ 너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태양풍이 태양계 바깥쪽에 존재하는 성간물질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이
전
파가 발생하는 부근이 태양계의 끝이라는 이야기가 된다.앞으로도 비행을 계속할 보이저는 단순계산으로 26년 후인 서기 2019년에서 2027년 사이에 태양계를 탈출하게 된다. 인류의 손으로 만들어진 물체가 처음 ... ...
청계천 잡동사니 더미 속에서 찾은 '보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새우며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나는 기록을 추적하다 찍은 것이 바로 이 사진이다.2차대
전
후 일본의 대학시설은 폐허상태였다. 폭격으로 망가지고 남아있는 첨단장치는 점령군의 밀봉으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아마 독일은 사정이 더했을 것이다. 이들의 경우를 생각하며 시대성을 갖춘 과제, ... ...
이전
1344
1345
1346
1347
1348
1349
1350
1351
1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