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뉴스
"
만
"(으)로 총 21,49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 잡는 유전자가위 최초 개발…동물실험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쥐와 달리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쥐는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고 모든 곳을 맴돌았지
만
, '크리스퍼 cas9-나노복합체'를 적용한 쥐는 건강한 쥐와 비슷하게 특정 장소를 기억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할 수 있다는 효과를 입증한 셈이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는 여러 기술적 한계에 부딪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수면과학의 발전으로 이 말은 아침형인 사람에게
만
해당할 뿐 저녁형에게는 오히려
만
성 수면 부족으로(일찍 잠들기 어려우므로) 건강을 해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저녁형인 사람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게 건강한 수면 습관이다. ‘세 끼 가운데 아침을 잘 먹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100년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답 없는 ‘혈관이 아픈 병’…합병증 예방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대 이상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당뇨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
만
약 비
만
이나 고지혈증, 고혈압이 있거나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다면 30세부터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 교수는 "오랫동안 당뇨병을 앓았어도 혈당을 정상 수치에 가깝게 유지한다면 합병증이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웨이퍼세정장비 국산화주도 오래택 수석…중기부문 김인호 소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만
들어낼 수 있다. 오래택 연구원은 10나노 공정 반도체에서도 19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0
만
분의 1m) 크기의 불순물도 제거할 수 있는 세정장비를 개발했다. 반도체 시장 경쟁력의 핵심 요인인 수율을 높이고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오래택 연구원은 “어려운 ... ...
간접흡연이
만
성 콩팥병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노출된 경우 59%, 3일 이상 노출됐을 때 66%나 높아졌다. 박정탁 교수는 “간접흡연이
만
성 콩팥병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대규모 연구를 통해 밝혀낸 것은 처음"이라면서 "되도록이면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신장학학회지' ... ...
LG화학, 6개 질환 혼합백신 개발한다…빌게이츠재단 370억 지원
2019.03.11
혼합백신의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높은 편의성으로 전 세계 백신 접종률을 크게 높일 뿐
만
아니라 영유아 보건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회사는 예상하고 있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전적격성평가(PQ, Pre-Qualification) 인증을 받은 6가 혼합백신 제품은 없다. 사전적격성평가는 세계보건기구(WHO ... ...
中 ‘민물 양식장’ 지구온난화 부채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럿거스대 해양 및 해안과학부 교수는 “지구온난화로부터 이득을 얻고 있는 종마저도 조
만
간 견딜 수 있는 한계를 넘긴 변화를 맞닥뜨리며 개체 수가 줄어드는 운명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국책연구과제''포항제철' 산파 윤여경 전 KIST 부소장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KIST의 기술이 기업들로 이어지는 계기가 된다. 국책연구과제라는 용어의 시초를
만
든 것도 윤 전 부소장이다. KIST는 설립 당시 국가와 산업계가 요구하는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었다. 설립 10년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미래 기술을 연구하는 기술자립을 준비했다. 문제는 돈이었다. 1978년 연구비는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
과학동아
l
2019.03.10
우리의 미래가 0.25%
만
큼의 가치는 하지 않을까요. 저는 최선을 소망합니다. 그리고 그래야
만
합니다. 우리에게는 다른 선택이 없습니다. ☞연관기사: 과학동아 3월호.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가시광선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해 관측하는 간섭계는 망원경끼리 100m
만
떨어져도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런 차이 때문에 파장이 훨씬 긴 전파대역에서 역설적으로 가장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초대형 블랙홀 주변에서 싱크로트론 복사가 ... ...
이전
1344
1345
1346
1347
1348
1349
1350
1351
1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