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뜻밖
의외
예상밖
d라이브러리
"
생각밖
"(으)로 총 2,949건 검색되었습니다.
9. 진동하는 끈이 만물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200501
1948년 아인슈타인은 68세의 나이에 ‘일반화된 중력이론’이라는 책을 펴냈다. 힘과 물질을 통합하는 ‘통일장 이론’에 대한 책이었다. 당시 연구 조수였던 존 케메니(훗날 미국 다트머스대 총장이 됨)는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모든 정열을 다 바쳐서 우주의 법칙을 찾으려 했다”고 회고했다.아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수북이 쌓인 책들과 서류들이 숲을 이루는 서울대학교 27동 226호. 이곳은 시골집 골목 끝에 있는 구멍가게에서 만날 것 같은 텁텁함을 가진 한 물리학자의 방이랍니다. ‘탄소나노튜브’라는 이름 하나로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주인공. 어릴 적 라이파이, 철인28호와 같은 SF 만화를 기억하는 물 ... ...
난 아직도 피가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2
찬 서리가 내리고 강원도 산악지대에는 눈이 내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 밤잠을 설치는 친구들이 있다고요? 범인은 바로 모기! 여름에 한창 말썽을 부렸던 모기들이 왜 늦가을까지 극성일까요? 모기의 일생은 보통 10일인데, 환경에 따라 한 달 정도도 살아요. 사실 겨울에는 살 수 없지만 난방이 ... ...
가을 물들이는 노랑 빨강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가을은 겨울을 준비하는 마지막 계절이에요. 그래서 동물과 식물들은 저마다 바쁘게 움직이지요. 땅에 뿌리를 박고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들 역시 겨울을 맞이할 준비를 한답니다. 겨울에는 나무의 뿌리가 빨아들이는 물의 양이 적어요. 그래서 식물들은 자신의 몸 안에 있는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12
스페인에서 인간과 고릴라 등 대형유인원의 공통 조상 중 가장 최근의 것으로 보이는 화석이 발견됐다. 이 유인원의 이름은 ‘피에롤라피테쿠스 카탈라우니쿠스’.연구팀은 바로셀로나시 근처 피에롤라 엘스호스탈레츠에서 이 화석을 발견했다.반강자성체의 전자(電子) 스핀의 자기공명(磁氣共嗚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12
헬리콥터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것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사진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 그의 사진집을 보면 우리가 사는 지구가 이렇게나 아름다운 곳이었는지 새삼스레 감동하게 된다. 프랑스 보 지역에 있는 하트 모양의 숲, 케냐의 투명한 마가디 호수, 카펫을 펼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12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3월 음속의 7배(마하 7)를 돌파한 극초음속 X-43A가 이번에 실시된 마지막 세번째 실험비행에서 음속의 10배를 돌파했다.X-43A는 오직 수소연료만 탑재하며 필요시 대기에서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기존 비행기보다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1932~ 미국의 물리학자 뉴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12
“이거, 분명히 화강암이잖아!”울릉도 저동 지역에 있는 부석(물에 뜨는 돌)층을 조사하다가 그 안에서 작은 화강암 조각을 발견한 필자는 눈을 의심했다. 울릉도는 화산섬이기 때문에 조면암이나 현무암 같은 화산암이 대부분이라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필자는 나리분지 부근과 석포동, 울 ... ...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12
지난해 9월 안모씨(44)는 한 모텔에서 히로뽕 0.03g을 투약하고 스스로 경찰에 신고 했다. 경찰은 신고를 받은 즉시 안씨를 검거했다. 안씨는 “다시는 마약에 손대지 않겠다. 이번에는 정말 마약을 끊겠다”며 “수감 중에 재활교육을 받고 싶다”고 호소했다. 안씨는 지난 1999년에도 히로뽕을 투약했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11
지난 9월 7일 미 생명공학기업인 시르나(Sirna)는 생명공학계를 한바탕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퇴행성 각막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한 신약의 임상시험 허가를 미 식약청(FDA)에 요청했기 때문이다. 신약을 상용화시키려면 임상시험 허가는 당연히 거쳐야할 과정이다. 그런데 유독 시르나사의 신약이 화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