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d라이브러리
"
정밀
"(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10
멀리까지 정보를 실어보낼 수가 있음을 의미한다. 레이저광은 통신분야 이외에도 금속의
정밀
가공, 암세포치료, 스타워스 군사무기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광(光)을 매개로 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방식을 광통신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전기를 매개로 할 때는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10
세계 최초의 기계식 컴퓨터를 만들지 못한 이유와 같다. 즉 실제 제작을 뒷받침할
정밀
기계기술의 수준이 너무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이론적 원리를 기계가 제대로 구현해주지 못했다. 그리고 그 시대의 기술정도가 자동필기기구 정도의 고도의 기계장치적 발전을 간절히 바라지 않았다. 멋있게 ... ...
블랙홀인가, 또 다른 미지의 천체인가?
과학동아
l
199110
우주비행센터가 개발한 기구관측용 감마선영상분광계도 은하중심부의 에너지분포를
정밀
조사해 방사선의 강도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했다.감마선 망원경의 분해능이 보다 뛰어난 소련의 GRANAT위성은 1E 1740.7-2942라는 난해한 이름의 천체로부터 폭발적으로 감마선이 방사되는 것을 관측했다. 이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09
발견되는 하도지만 화산섬인 울릉도에서는 이런 구조를 발견했다는 보고가 없었기에
정밀
한 조사를 거쳐 하도라는 것이 확인되기만 한다면 이번 탐사의 가장 큰 수확이 될 것이라고 발견자들은 입을 모았다.이날의 마지막 관찰지인 죽도(竹島)는 물이 없는 섬. 표면은 부석이 뒤덮고 아래쪽은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09
금성표면에 탐사선을 착륙시켰으며, 화성에는 마스(Mars)우주선들이 주변을 선회하면서
정밀
관측을 시도했다.1976년에는 바이킹(Viking) 1호와 2호가 화성에 연착륙(軟着陸)해 생명체 탐사를 비롯한 여러가지 과학실험을 수행했다. 파이어니어(Pioneer) 10호와 11호 우주선들은 각각 1973년에 목성에 접근한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09
넘치게 보기 위해서는 고배율이 필요한데, 그에 따른 분해능을 지원하는 광학계의
정밀
도가 요구되며 고배율의 분해능과 풍부한 광량을 확보할 큰 구경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하지만 반대로 구경이 커지면 대기층의 불안정 때문에 상이 떨려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 시간이 적어지게 된다.둘째로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09
의해 세밀히 관측됐고 그의 이름을 따서 이름 붙여졌다. 티코별의 남은 잔해들은 고도의
정밀
도를 가진 망원경 사진에서만이 볼 수 있는 희미한 가스층이다.밤 하늘에서 가장 강력한 전파 원인 카시오페이아 A는 M52의 남쪽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놓여 있다. 카시오페이아 A는 그 팽창 속도로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09
대부분의 천문학적인 대상은 세밀히 관측되리라 기대된다. 은하핵(galactic nuclei)의
정밀
관측, 퀘이사의 고유운동 관측, 더 나아가서 우주팽창의 비등방성 등 놀랍고 획기적인 관측들이 가능하다.달에서 하늘을 보는 것을 상상해 보자. 태양이 빛나는 곳을 제외한 모든 하늘은 밤도 낮도 구별없이 수 ... ...
2. 신소재와
정밀
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09
설계이론은 복잡한 재료의 특성을 가능한한 실제에 가깝도록 반영하였기 때문에 설계의
정밀
도가 향상되었고 이로 인해 보다 더 높은 건물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우수한 건물형태의 개발에는 여러가지 독특한 것이 많이 있으나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므로 상세한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09
것 같군요.먼저 지질학적인 고찰을 해보죠. 탐사과정에서 현미경관찰이나 X-선 투시같은
정밀
관찰은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논문들이 밝혀놓은 바를 현장확인한다는 의미가 컸다고 봅니다. 기존 연구들은 울릉도의 생성과정을 5기로 분류하고 있는데 우리도 여기에 준해 각 기별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