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러니까 한 판의 16분의 1만 먹는 걸로 약속해요, 우리. 라면의 열량은 대략 500kcal로 생각보다는 안 높습니다. 물론 열량이 탄수화물에 편중돼 있고, 나트륨 함량이 높아 다양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야식은 아닙니다. 만약 아침엔 식욕이 없고, 밤에 야식을 찾으면서, 잠을 못 자는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는 가자미근도 최고 33.83% 활성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경사각이 커지면서 인체 감각기관이 속도감을 느끼고 운동기관인 근육이 그에 반응해 근육을 수축시켜 이런 반응이 나타난 것”이라고 해석했다. 가상현실 시뮬레이터가 이미지 트레이닝에 사실감을 더해 줄 수 있다는 뜻이다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간격을 바꿔가며 최적의 양항비를 찾는 훈련을 반복했다. 김현기 선수는 약 20도로 각도를 벌리고 스키 뒷부분 사이의 간격이 스키 길이의 약 5%가 됐을 때 양항비가 1.33 정도로 가장 좋았다. 최 교수팀은 2019년까지 스키점프 대표팀의 과학 훈련을 계속 도울 계획이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가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변화시킬 수 있다”며 선수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대사체는 금지약물 400가지 각각에서 2~3가지씩 나온다. 수백 종의 미량 물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첨단 분석 장비가 필요한 셈이다. 이를 위해 DCC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 17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 1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눈결정은 어떻게 수없이 다양한 모습으로 피어날 수 있는 걸까? 언제나 그랬듯이 자연은 우리에게 쉽게 답을 알려주지 않는다. 겨울이 만들어낸 걸작, 눈결정의 비밀에 다가 ... 눈결정이 있을까?[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회전했는지에 주목하면 3과 5가 15의 소인수이고, 따라서 1/15=2/5-1/3이 성립하기 때문에 정15각형의 대칭을 만들어낼 수 있는 거예요. 결국 대칭이 소수와 연관이 돼서 대칭도 마찬가지로 주기율표의 원소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지요. 유희수학으로 유명한 수학자 ‘존 콘웨이’는 이렇게 원소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들었습니다. 유로 2016에 참가한 팀의 자료와 선수의 경기 기록을 바탕으로 경기마다 각 팀이 이길 확률을 알려주는 통계 모형을 개발한 겁니다. 그 결과 40경기 중 26경기의 승부를 맞혀 65%의 정확도를 보였습니다. 이기는 팀 예측은 경기를 더 흥미롭게 만들지만, 정확도가 그리 높진 않습니다.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최근 대학별 입시 제도가 다양해지면서 수석 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대학 입학본부의 지원을 받아 수 ... “실패가 힘을 낼 수 있게 만드는 기폭제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조금 뒤처졌다고 생각해도 좌절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볼 수 있기 때문에 함부로 조작할 수 없도록 ‘블록체인’을 이용했어요. 블록체인은 각 거래 내역이 적힌 장부를 이어서 만든 고리예요. 새로운 장부를 만들 때 바로 전에 있는 장부에 담긴 내용을 짧게 요약해서 함께 기록해 놓기 때문에 ‘체인’이라고 표현하지요. 모두를 위한 화폐가 올까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작됐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주도로 로봇 공학자뿐만 아니라 생물, 재료, 전기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지요. 지난 10월 로보비가 비행뿐만 아니라 수영도 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돼 화제가 됐어요. 초당 9~13회 정도로 날갯짓하며 물속에서 움직이던 로보비가 공중으로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