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리"(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레고로 로봇을 꿈꾸다, ‘FLL’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FLL(FIRST Lego League)은 상상력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로봇대회야. ‘레고 로봇 세트’를 이용해서 주제에 맞는 로봇을 만드는 거지. 예를 들어 좁은 혈관을 넓히거나, 축구 선수의 부 ... 지금까지 몰랐던 새로운 로봇 세상을 경험하게 될 거야!나도 레고 나라에서 친구들을 기다리고 있을게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것이다. 그런데 그가 종이 한 장으로 접은 하늘소는 다리와 더듬이, 집게가 모두 있었다. 다리 끝부분은 마치 실제처럼 둘로 갈라져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로버트 랭 박사의 홈페이지(www.langorigami.com)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2001년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과학자들은 해결하기 어려운 ... ...
- 기상천외 귀마개 스케이팅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최대 두 명이다(*힌트 : 양과 늑대귀마개를 쓴 두 사람이 먼저 출발한다). 정답과 해설1. 다리를 길게 뻗은 선수(위에서 첫 번째).2. 귀마개를 놓고 와야 한다.1번 선수가 귀마개를 하고 2번 선수에게 전달. 2번 선수는 탁자에 귀마개를 다시 놓고 3번에게 간다. 3번은 빈 탁자를 지나 4번에게 간다. 4번 ... ...
- 종이 파이프로 만든 예술작품 파이프로이드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말고 끼우다 보면 멋진 작품이 완성된다. 결국 ‘아이디어’의 승리다. 완성된 작품의 팔다리, 머리 등을 움직여 다양한 포즈를 취할 수도 있다. 총 20개의 캐릭터마다 재미있는 스토리가 있다. 예를 들어 ‘로크스케와 하치’에서 로크스케는 힘이 세고 남들에게 싸움 걸기 좋아하는 문제아지만, ...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발을 짚어 균형을 잡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사람처럼 충격을 받으면 적극적으로 다리를 움직여서 중심을 잡는 겁니다. 발걸음도 사람과 비슷합니다. 발꿈치부터 땅에 디딘 뒤 발끝을 내딛고 지면을 밀면서 앞으로 걷습니다. 당연히 걷는 속도도 훨씬 빠릅니다. 시속 5.5km 정도로 휴보가 달릴 ... ...
- 눈속임 잘 하면 '킹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진을 입으면 다리가 길어 보인다. 하이힐을 신으면 시선이 더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다리가 더 길어 보인다. 아이돌 가수들이 굳이 불편한 하이힐을 신고 춤을 추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옷에 그려진 사선도 방향과 각도에 따라 착시현상을 만든다. 사선이 띄엄띄엄 그려진 곳의 신체 부위는 넓어 ... ...
- 별별 2011 토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있어요. 멧토끼는 우리가 보통 산토끼라고 부르는데, 굴토끼보다 귀가 더 크고 뒷다리도 더욱 발달했어요. 이 때문에 시속 80㎞의 속력으로 달릴 수 있죠. 또한, 멧토끼는 굴을 찾아 홀로 생활한답니다.세상에 모든 별별 토끼이제 토끼에 대해 잘 알았지? 그럼 다시 파티 장소로 함께 달려가 보자~ ... ...
- 하늘을 나는 뱀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날개는커녕 다리도 없는 제가 하늘을 난다고 하니 다들 신기하다고 말하더군요.날개도 다리도 없는데 어떻게 하늘을 나는 건가요?일단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요. 충분히 높이 올라가면 몸을 땅 아래로 쭉 내렸다가 힘차게 공중으로 올리면서 움추렸던 꼬리 부분을 쫙 펴지요. 그러면 스프링처럼 ...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3호
- 어깨뼈가 길게 발달하고 윗팔뼈가 다른 비슷한 종류의 공룡보다 크다. 연구팀은 아랫다리뼈와 허벅지뼈의 길이가 비슷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코리아노사우루스가 특별히 빠르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뛰어다니기보다는 네 발로 걸으면서 상황에 따라 두 발로 걸었고, 땅을 파는 습성을 ... ...
- 야옹이 구출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2호
- 위에서 누르는 힘이 양 옆의 맞닿는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나누어진다. 그 결과 다리가 무게를 더욱 잘 버틸 수 있다.우리 몸에서 아치 찾기갈비뼈가 상체를 지탱하거나, 발바닥이 몸 전체를 버틸 수 있는 것도 바로 아치형 구조 때문이다. 무게중심과 균형을 찾아라!“홍홍~, 이상하다. 원주민들이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