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말
어휘
말
글자
보캐뷸러리
워드
word
d라이브러리
"
단어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해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불가능하다’는 극단적인
단어
를 쓴 것은 인간복제와 관련한 윤리적 논란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지만 원숭이 복제가 매우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미국 피츠버그대 제럴드 섀튼 교수는 2003년 4월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원숭이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나노기술의 약자다. 그럼 ‘BINT’는 뭘까. 초코과자 이름과 비슷하다고? 앞의 세
단어
를 합치면 정답이 나온다. 세 기술을 융합한 바이오정보나노기술(BINT)이 그것이다.BINT 연구엔 여러 전공의 유기적 연결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KAIST는 2004년 4월 다양한 학문 분야를 결합해 새로운 분야를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쓸 수 있어 타자를 치는 리듬이 고르게 유지됐다.중간 자판만으로도 일상적으로 쓰이는
단어
400개는 충분히 칠 수 있어 타자일의 70%를 해결할 수 있었다. 반면 쿼티 자판으로는 32%인 100개밖에 치지 못했다. 드보락 자판은 공학적으로 합리적이고 우수한 기술이 틀림없었다. 그런데 불행히도 드보락은 ... ...
사랑은 키스를 부른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낭만적인 더블릿 하나를 소개한다. LOVE에서 출발해 KISS에 이르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각
단어
들로 문장을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위에 소개된 시는 그 중 하나다. 약간 억지스러운 부분도 없지 않지만 사랑하는 사람에게 들려주면 좋아하지 않을까.지난달 정답 _ ... ...
우주정거장의 말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내리면서 물 시료를 분석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고 설명했다.클라리사는 260개의
단어
를 이용한 75개 문장으로 우주인에게 묻고 답한다. 이 컴퓨터는 사람의 말을 94%의 정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만일 컴퓨터가 잘못 알아들으면 우주인은 “아니, 내 말은…(No, I meant…)”이라고 말하면 된다.호키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왕색깔어의 발생 순서를 연구하는 인류학자들 말은 어느 문화권이든 가장 먼저 생겨나는
단어
는 검정과 흰색 그리고 붉은 색이라고 말한다. 아주 오래 전부터 붉은 색이 색 중의 색으로 인식됐던 것이다. 현대 의학에서도 붉은 색이 색 중의 색으로 나타나는 사례를 찾을 수 있다. 뇌 손상으로 잠시 ... ...
과학 발전의 산 증인,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발명품입니다. 말이 끄는 마차를 왜 자동차라고 부를 수 없을까요? 그것은‘자동차’란
단어
가 ‘스스로의 동력으로 움직인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죠. 그‘스스로의 동력’이 바로 엔진이랍니다. 1769년 벨기에의 니콜라스 퀴뇨가 3륜차체에 커다란 보일러를 얹은 최초의 '말이없는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발표했고, 관련 특허만 50건이라는 그는 연구실의 성공비결을 ‘창의적 도전’이라는 한
단어
로 요약했다.“불과 몇년 전만 해도 나노 정형 가공에 도전할 계획을 가진 사람은 많지 않았습니다.” 3년전 이 분야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결단이 오늘날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게 된 원천이라는 그의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작했다.휴대전화는 황의 백과사전휴대전화를 ‘펼치면’ 황의 법칙을 따르는 각종 ‘
단어
’들이 즐비하다. 휴대전화의 발전은 곧 휴대전화에 내장된 각종 반도체 칩들의 발전. 벨소리는 음원 칩이, 그림은 이미지센서가, 휴대전화에 들어오고 나가는 각종 데이터는 메모리가 관장한다. 이들은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자신의 정보 사용량을 체크해 보는 네티즌들도 있다. 이에 대해 배 교수는 “종량제라는
단어
자체가 갖는 부정적 의미를 바라보는 네티즌의 심리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전문가들은 결국 종량제 문제가 해결되려면 KT가 설비투자 수요 및 초고속인터넷 수익성 전망 등의 정보를 투명하게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