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이터"(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표현할 수 있게 됐습니다. 색을 숫자에 대응시킨 것이지요.이렇게 양이 적고 편차가 큰 데이터로 만든 색공간이 지금까지 기준으로 쓰이고 있다는 건 놀라워요. 이는 수학자가 참여해 편차를 감안하고 평균값을 이용해 엄밀하게 풀어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어요.따끈따끈한 색공간, DCI-P3CIE1931이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통해 정보를 조작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런 이유로 금융, 각종 계약, 선거 등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 블록체인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북유럽의 작은 나라 에스토니아, 선거의 미래를 보이다핀란드 위에 위치한 작은 나라, 에스토니아는 ‘전자정부’로 유명하다. ...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길 아닌 길을 지금껏 10번 이상 오르내리며 한라산의 지형과 기후변화 연구를 위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앞으로도 2년 동안 이런 극한 산행을 이어가야 한다. 기자는 등산스틱이 부러질 정도로 몇 번이나 미끄러졌다. 임 책임연구원은 멋쩍게 웃으며 “후배들이 안 오겠죠? 이런 일이 하기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받기 때문에 이보다 정확도가 더 낮습니다.이런 문제들이 산재해 있음에도 계속해서 DNA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는 DNA 정보를 활용할 경우 범인을 검거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제주지역에서 10대 미성년자 성폭행범을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쪼개서 {아은, 우악와, 애을, 오아애}라는 집합 A를 만든다. 이제 가지고 있는 모든 가사 데이터도 집합으로 바꾼 뒤, 집합 A와 자카드 유사도를 계산해 비교한다.연구팀은 후보 문장 바로 앞에 놓인 가사 한 줄과 자카드 유사도를 계산하거나 앞에 나온 다섯 줄과 각각 계산해 평균을 내보고 정확도를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수학 알고리듬이 입력된 슈퍼컴퓨터가 수천 개의 게놈 데이터를 동시에 계산할 수 있어 데이터 속에 숨은 정보를 찾아냅니다.DNA는 생물체의 유전 정보를 알려주는 물질입니다. 이중나선 구조로 쌍을 이루고 있는 DNA 분자는 A, G, C, T 4개의 염기로 이뤄집니다. 4가지 염기 중 3개가 만나 AGC, GAT, CAT, ...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주는 공포는 직관적이긴 하지만, 거의 전부 매우 높은 확률로 사실이 아닙니다. 그게 데이터와 통계, 그리고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 결과가 교차 검증을 통해 알려주는 유일하게 믿을 만한 결론입니다.백신은 자신은 물론 속한 사회를 건강하게 지켜주는 강력한 방어막입니다. 직접 백신을 맞지 ... ...
- [과학뉴스] 지구 대기 속 제논의 고향은 혜성?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일명 ‘추리’로 불리는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의 저고도 궤도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제논의 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했다. 제논은 무색무취의 비활성 기체로, 지구 대기 중에 미량이 존재한다. 그 중 일부는 석질운석에서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나머지는 어디에서 왔는지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속도로 양자키를 만드는 기술이 있고, 노키아는 이렇게 생성한 양자암호키를 사용해 데이터를 고속으로 암·복호화해 디지털 암호키로 변환하는 기술이 있다”며 “두 회사가 힘을 합치면 차세대 양자암호통신 시스템 구축의 선두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 측은 현재 분당-성남(17.8km),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경기수로 나누는 승률과 다릅니다.미국 스포츠 전문 방송 ESPN은 각 팀의 전력을 분석한 데이터를 토대로 아직 치르지 않은 경기에서 각 팀이 이길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리학자 아르파드 엘로가 처음 만든 이 알고리즘으로 클리블랜드의 승률처럼 n차전에서 이길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