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d라이브러리
"
복잡
"(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적인 시뮬레이션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더 크고, 더
복잡
한 컴퓨터가 필요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컴퓨터공학이 반드시 필요합니다.Q 최보윤(경일여고) 공대와 자연대 중 어떤 분야를 공부해야 할까요?A 자신이 좋아하는 흥미로운 현상을 떠올려 보세요. 그 현상을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1861~1955년)는 검증 과정에서 새로운 진보를 이뤄냈다. 켐프의 방법을 활용해 아무리
복잡
한 지도라도 5가지 색이면 충분하다는 성질을 증명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방법은 평면 지도를 넘어 곡면 지도에도 적용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보면 켐프와 히우드는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다소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있기 마련이다. 마치 단순한 벽돌을 시멘트와 건축 원리를 이용해서 짜 붙이면 상당히
복잡
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공리와 연역법은 함께 ‘공리체계’를 이룬다. 가정의 명확함이 사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만들어 준다는 신념이 공리체계의 근본적인 동기다. 물론 그러면 언젠가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등의 사칙연산만으로 다룰 수 있도록 라플라스 변환을 이용한다. 라플라스 변환이란
복잡
한 미분방정식을 풀기 쉬운 함수로 변환해 주는 방법이다.전자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이뤄져 있으며 맥스웰 방정식★을 통해서 해를 구할 수 있는데, 푸는 방법이 매우 어렵고 적용하는 것도 만만치 않기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현장 조립을 진두지휘한 주인공이라는 걸. 양 부장은 한치의 오차도 없이 짜맞춰야 하는
복잡
한 장비들을 무려 40개월에 걸쳐 현장에서 꼼꼼히 조립해 냈다. 조립설계 기간까지 합하면 4년 반이 걸린 대사업이었다. 그는 “혼자 한 것은 아니다”라고 손사래를 쳤지만, 어려움이 무엇이었느냐는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커다란 제트엔진이나 수줍게 드러낸 비행기 내부 구조를 보며 비행기를 만들 때 쓰이는
복잡
하고도 정교한 기술을 한 눈에 알 수 있지요. 공군기 조종석에 앉아 여러 계기판을 직접 만져 보거나 게임 같이 신나는 시뮬레이터로 조종 체험도 할 수 있답니다.How things fly~! 비행기는 어떻게 날아?그런데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또 하나의 함수는 i(V)로 표기하는 ‘내적’ 함수다. U1∧U2∧…∧Uk를 다음과 같이조금
복잡
하게 나타낸다. 내적 함수는 상당히 기묘하게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공간도형에 주어진 일종의 ‘미분’ 작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차원을 내리는 벡터내적을 기초로 미분의 곱셈 법칙과 벡터의 순서를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익히고 난 다음, 프로그래밍 언어가 익숙해지고 더 배우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면 조금 더
복잡
한 프로그래밍 언어인 러플이나 C언어를 배우는 것이 좋다. 명령어를 익히고 사용하면서 컴퓨터가 생각하고 계산하는 원리를 배우고 알고리즘을 자연스럽게 익히면서 문제해결력과 논리력을 기를 수 있다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12월 4일 지구 중력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났고 12월 11일 첫 궤도 수정을 했다. 비록
복잡
하고 지루하며 메이븐에 비해 폼도 나지 않는 길이었지만 망갈리안에게는 최선의 길이었다.달 탐사도 인도처럼 한걸음부터“인도와 우리나라를 단순 비교하는 것은 곤란하다”라는 최기혁 항우연 실장의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지닌 파이온이라는 입자가 실제로 발견되면서, 그는 큰 주목을 받았다. 그 뒤 좀더
복잡
하고 정확한 핵력 이론이 정립되면서 그의 이론이 완벽히 맞지는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하지만 입자가 힘을 매개한다는 발상 자체는 완벽히 맞았기에 그는 이 이론의 선구자로 꼽힌다. 유학파보다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