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위치를 찾고, 고장 난 케이블을 잘라 배로 운반해요. 그러면 엔지니어들이 고장 난 부분을 수리해 케이블을 다시 바다로 내려 보낸답니다. [스토리] “헉! 이게 뭐야? 상어 떼가 멸치 떼로 변했어. 엄청 웃기다.”수호가 멸치로 변한 상어 떼를 가리키며 킥킥 웃었어요.“우리가 얻은 아이템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이파리가 거북의 꼬리를 닮았네! 거북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가늘고 긴 꽃차례축이 여러 개 솟아나 꽃을 피워요. 꽃차례축이란 꽃이 달리는 줄기 부분을 말해요. 거북꼬리 줄기 중간의 꽃차례축에는 수꽃이, 줄기 위쪽의 꽃차례축에는 암꽃이 피어요. 수꽃은 짧은 꽃자루를 가졌고, 암꽃은 꽃자루가 없이 여러 송이가 작은 공 모양으로 촘촘히 달린답니다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다이아몬드를 수학적으로 계산했어요. 다이아몬드를 총 58면체로 깎는 방법이지요. 윗 부분은 납작하고 아래로 갈수록 뾰족한 모양으로, 우리가 다이아몬드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형태랍니다.하지만 모든 다이아몬드를 브릴리언트 컷으로 깎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다이아몬드 원석의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벌레도 잡아줘서 푹 빠지게 되었어요!Q식충식물은 어떻게 키워야 하나요?식충식물 대부분은 습지대에 살아서 집에서 식충식물을 키울 때도 흙이 항상 젖어있어야 해요. 이때는 화분을 물에 담가두는 ‘저면관수’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답니다.Q식충식물이 벌레를 먹지 않으면 어떡하죠?만약 ... ...
- [해외취재] 아리안5에서 엑소마스까지…. 유럽 우주 개발 현장 탐방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홍보실장은 Vinci 엔진의 재점화 기능을 강조했어요. “Vinci 엔진은 아리안6 발사체의 윗부분인 2단에 위치해 있어요. 발사체가 우주에 진입한 뒤 정해진 궤도에 다다르면 위성이 발사체로부터 분리돼요. 이때 Vinci 엔진이 재점화를 해 위성이 정확한 위치에 자리 잡도록 돕는 역할을 하지요. 이러한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흰발농게와 같은 해양보호종은 대부분 썰물 때만 땅이 드러나는 갯벌 조간대 위쪽에 살고 있어요. 이 지역은 사람들의 출입이 잦으며 개발 압력이 높은 곳이지요. 사람이 오고 가거나 콘크리트 같은 구조물이 생기면 이들의 보금자리는 금세 유실돼 ... ...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꼬리지느러미의 모양이 다른데, 문제를 하나 낼게요. 둥근 꼬리지느러미(원형)와 가운데 부분이 움푹 들어간 V자 모양의 꼬리지느러미(양엽형)를 가진 물고기 중, 어떤 물고기가 더 빠르게 헤엄칠 수 있을까요?”정답은 바로 V자 모양의 양엽형 꼬리지느러미예요. 양엽형 꼬리지느러미는 원형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의 기본, 알고리즘을 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자판기에서 음료를 여러 번 뽑아 먹을 때는 ‘반복’ 알고리즘을 쓸 수 있어요. 반복되는 부분을 묶어서 한 번에 명령을 내리면 더 효율적인 알고리즘이 된답니다. 또 컴퓨터가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다른 명령을 수행 하도록 하고 싶으면 ‘조건’ 알고리즘을 쓸 수 있어요. 보통 ‘만약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같은 형태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예전에는 신경이 끊어지지 않은 팔 부분에 진동이 발생하는 모터를 붙이고, 로봇 팔에 달린 압력센서로 물컵을 쥐는 압력을 감지했다. 힘이 들어가는 정도에 따라 모터가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사용자는 스스로 훈련을 통해 어느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펭귄은 총총히 걷기도 하지만, 배를 깔고 미끄러져 슬라이딩을 하기도 한다. 이때 배 부분의 매끄러운 깃털이 썰매 역할을 한다. 그래서 긴 거리를 훨씬 빠르고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이외에도 천적에게 쫓길 때 꼬리깃을 떨어뜨려 유인하거나, 깃털을 깔때기처럼 모아 소리를 듣거나, 깃털을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