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랩! 디지털 리터러시] 슬기로운 온라인 수업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를 연재 중이에요. 코로나19로 비대면 활동이 늘면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친구들이 많을 텐데요. 이번 14화에선 온라인 수업에서 지켜야 할 에티켓과 바른 소통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 ...
- [통합과학 교과서] 도깨비의 노래 연습을 도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막아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마이클 메어 교수는 “항공 우주 분야뿐 아니라 건축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에필로그“2021년 올해의 신인상을 발표하겠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동화마을의 도깨비!”꿀록 탐정이 TV를 켜자 익숙한 얼굴이 나타났어요! 방음벽을 설치했던 그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 eyeon136)A. 네, 어과동 표지 색은 매년 바뀐답니다. 올해는 빨간색이에요. 여태 가장 많이 사용된 어과동 표지 색깔은 무엇일까요? 바로 흰색이랍니다 ... ...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있게 되죠. ●데이터 주권 : 데이터의 주인이 자신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지 목적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 ➋ 소유권을 나눠 갖는다! 실물, 디지털 자산을 암호화폐로 바꿔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어요. 거래를 도와주는 사람이 필요 없어, 거래 수수료가 사라지고, 자산과 ... ...
- [통합과학 교과서] 물속에서 숨 쉴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위해 다양한 종류의 호흡 방법을 진화시켰어요. 그중 하나는 미꾸라지나 메기가 사용하는 ‘장호흡’이에요. 이 물고기들은 평소 아가미로 호흡을 하다 때때로 수면 위로 올라와 공기를 삼켜 장에서 호흡해요. 미꾸라지의 뒤창자에는 혈관이 빽빽하게 모여 있어 삼킨 공기 방울 속의 산소를 혈관을 ... ...
- [특집] 미래 화폐 최강자를 가린다? 암호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동전 같은 현금이나 카드를 주로 쓰지만, 태평양의 작은 섬 ‘얍’에선 돌덩이도 화폐로 사용됐다는 사실, 알고 있니? 심지어 과거엔 동물 이빨이나, 보리 같은 것도 화폐가 됐어. 그렇다면 무엇이 미래 화폐의 자리를 차지할까?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는 ‘암호화폐’가 유력한 후보 중 하나로 ... ...
- [특집] 암호화폐 은행을 대신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그 이득은 소수가 취하고 손실은 일반사람들이 다 떠안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사용자가 같이 발행, 관리하는 화폐를 만들었죠. 여기엔 ‘블록체인’이란 기술이 적용됐어요. ‘블록’은 디지털 거래 장부예요. 사람들이 주고받은 거래 내용이 적혀 있지요. 블록은 10분마다 만들어지며,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에선 친구들이 날 어떻게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를 연재 중이에요. 13화는 온라인에서 비춰지는 나의 평판에 대해 생각해 보고, 좋은 평판을 갖기 위한 마음가짐에 대해 알아볼까요? “안녕? 나랑 친구 할래?”여러분에게 두 사람이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씁니다. 칼로리 단위가 많이 쓰이는 분야는 영양학으로, 음식이 가진 열량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과자의 영양정보표에서 칼로리를 본 적 있을 거예요. 이때는 물리학의 칼로리와는 다르게 물 1kg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드는 열량이 기준이라서, 단위를 ‘kcal(킬로칼로리)’로 표기합니다. 우리가 ... ...
-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차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부르지요. 수학자들은 점, 선, 면 그리고 공간을 구분할 때 ‘차원’이라는 이름을 사용해요. 작고 작은 마을처럼 점 혼자 있는 세계를 ‘0차원’이라고 하지요. 점과 점이 만나 선이 생긴 세계를 ‘1차원’, 더 많은 점이 모여 면을 이뤘지만 아직 납작한 세계를 ‘2차원’이라고 불러요. 지금 우리가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