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색채
빛깔
색
색상
빛
칼라
색조
d라이브러리
"
색깔
"(으)로 총 1,9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림은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워낙 작은 데다가 가마에 굽는 과정을 거치니까
색깔
사용도 제한될 수밖에 없고 무엇보다 도기 화가들의 그림 솜씨가 진짜배기 화가들하고 수준차이가 상당했을 거라는 걸 감안해야 한다.로마 시대 벽화들도 마찬가지다. 그리스 원작들을 거의 베꼈겠지만, ... ...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어떻게 사물의 색을 보느냐’부터 생각해 봅시다. 제가 파란색 옷을 입고 있는데, 이
색깔
을 어떻게 알아볼까요. 모든 파장을 갖고 있는 백색광이 들어오면 옷은 파란색 파장을 제외한 모든 파장을 흡수합니다. 즉 파란색 파장만을 반사하기 때문에 파란색이 보이는 것이죠.몸의 분자들도 모두 자연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한다. 간혹 줄무늬 자체가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줄무늬가 생기고 없어지는 것뿐 아니라
색깔
변화도 나타난다. 회색에서 적갈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중심 적도대는 일시적으로 노란색이나 황토색이 되기도 한다. 아마추어 수준의 망원경으로도 장기간 관찰해보면 이러한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 ...
시멘트의 출생장소는 도자기 굽는 가마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일단 물기가 사라진 후 시간이 지날수록 더 단단해지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이 신물질은
색깔
이나 모양이 포틀랜드 섬에 있는 석재와 비슷하여 '포틀랜드 시멘트'라고 불려졌다.1867년 프랑스의 모니에는 흙으로 구워서 만든 질그릇 화분이 자주 깨지자 시멘트와 모래를 섞은 후 물을 넣었다.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화성(아레스)에 반대(안티)하는 별’이란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안타레스 별의
색깔
이 워낙 붉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얻게 됐던 것이다.전갈의 심장인 안타레스가 동양 별자리로도 동방 청룡의 심장이 된다는 사실은 재미있다. 그래서 별 이름도 심성(心星), 즉 심장별이다. 심성은 심수라는 28수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수업이다” 하지 않고, “야! 오늘은 제6요일이니 오전 수업이다” 이렇게 한다면 말에
색깔
이 없어서 되게 재미 없을 터입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우리의 요일에는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월화수목금토일, 이런 이름이 있습니다. 이런 요일의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오행은 금목수화토,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그 수가 부족하다. 포유류가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이유다. 이것은 포유류의 공동조상이
색깔
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야행성동물이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알몸을 감상하는 뱀에덴 동산에서 불미스러운 사건(?)을 만든 뱀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상을 보고 있다. 뱀은 인간이 볼 수 없는 빛, 즉 ...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아기예수의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울트라마린’은 황금에 버금가는 소중하고 값비싼 안료로 생각돼서 특히 마리아의 옷
색깔
로 널리 사용되었으니까. 중세와 근대에 그려진 성화에서 짙은 파란색은 보는 사람에게 경건한 마음을 일깨웠다고 한다. 그래서 성모 마리아와 천사, 성자들 가운데 아주 몇사람만 진청색 옷을 입을 수 ... ...
고기 익었는지
색깔
로 판단하면 큰일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넣는 쇠고기를 온도계 없이
색깔
로만 익었는지 판단할 경우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미국 농무부농업연구소(ARS) 과학자들은 2월 2일 요리하기 전의 고기 상태에 따라 고기 색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보고서로 발표했다.브래드포드 연구팀은 햄버거용 쇠고기를 온도계 없이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2nm에서 12nm로 크기를 달리함에 따라 빨간색에서 파란색까지 무지개색이 변화하는 순서로
색깔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었다.왜 나노물질은 이처럼 신기한 특성을 가지는 것일까. 나노물질은 입자의 수가 수억개 이상으로 이뤄진 벌크 물질과 몇개의 원자로 구성된 분자의 중간 형태라는 점을 생각하면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