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상"(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싸우기만 한다면. 다윗은 골리앗의 자만심을 이용해 자신에게 유리한 전투를 치렀고 ‘예상대로’ 승리했다. 골리앗이 다윗을 이기기 위해서는 말을 타고 기마병이 됐어야 했다. 역사에 나타난 실제 전투는 어땠을까. 10배 이상 강한 나라와 약한 나라가 전쟁한 사례를 모아봤다. 강한 나라의 승률이 ... ...
- 홍자의 친구 사귀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4년 03호
- 문제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반면, B는 종종 외롭고 혼자라는 생각이 든다. 왜일까?첫 번째 예상 가능한 원인으로는 개인적인 성향 차이를 들 수 있다. A는 긍정적이고 주어진 상황에 잘 순응하는 성격이고, B는 소심하고 걱정이 많은 성격이라면 같은 상황에서도 다르게 느낄 수 있다. 이뿐만이 아니라, ... ...
- 쓰나미 쓰레기섬, 미국 덮칠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1600km 정도 떨어진 지점에 대부분의 쓰레기가 집중된 ‘본진’이 위치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제태평양연구센터(IPRC)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바다쓰레기는 1~2년 안에 미국 서부해안에 가장 근접했다가 2018년쯤 되면해류를 타고 다시 멀어지기 시작한다. 혹시 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 ...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것이다.전개 : 파국적인 임계 현상의 촉발자연이든 사회든 다양한 네트워크가 맞물리며 예상 못한 결과를 내는 과정을 연구하는 것이 ‘복잡성 과학’이다. 특히 흥미를 끌어온 주제는 어느 경계(임계점)를 넘어가면서 갑작스럽게 파국으로 돌변하는 경우다. 예를 들어 매년 고작 수 cm씩 움직이는 ... ...
- GALAXY는 WARP중과학동아 l2014년 02호
- 70%는 워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은하도 약한 워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워프는 왜 일어날까. 물렁물렁한 고무막대를 휘려면 힘을 가해야 한다. 손으로 끝을 잡고 구부리는 방법도 있고, 나무망치 같은 것으로 툭 치는 방법도 있다. 은하 역시 뒤틀리거나 휘려면 외부의 힘이 ... ...
- LED 밑에서 잠 못 드는 닭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시작했다(26~27쪽 참조).닭에게는 너무 밝은 LED양계장 조명을 LED 전구로 교체하면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다. 단편적인 예가 LED 전구의 물고임 현상이다. 양계장의 잦은 소독과 물청소로 전구 안에 물이 고인 것이다. 화재나 누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 2012년부터는 방수 LED 전구를 보급했다 ... ...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년 02호
- 3 견제가 전쟁을 줄인다.전쟁을 줄이기 위해서는 군비를 축소해야한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서로 견제할 수 있는 강한 무기가 생기면서 전쟁이 줄었다는 해석도 있다. 게임이론가들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설명한다. 현재 상황을 변경해 공격함으로써 얻는 효용인 W변수, 공격에서 실패해 보는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서서히 이동한다. 그 운행이 끝나는 2012년 12월 21일에 지구의 종말이 오게 된다고 예상한 것이다. 이 예측에 관심이 집중된 것은 고대 마야인들의 일식과 월식, 행성의 운행과 공전 궤도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이 우수했기 때문이다. 물론 2012년이 무사히 지나갔기에 이 예측은 틀린 것으로 판명됐다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그만큼 중요합니다.”완전히 다른 입자기 때문에 가속기에서 만들면 관측은 쉽다고 예상한다.“힉스의 증거가 되는 붕괴 현상을 검출할 때, 헷갈리게 하는 입자들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에 실험을 많이 해서 통계적으로 검증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자기홀극은 헷갈리게 할 게 없어요. 그러니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생각해 보면 아무리 작은 수라도 무한히 더하기 때문에 답은 무한히 큰 수가 나올 거라고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수를 하나씩 더해 보면 아무리 더해도 수가 커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결국 1에 가까운 수가 될 뿐, 1이 넘지는 않는다. 따라서 답이 1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17세기 수학자들도 이와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