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러셀 하워드 연구원팀은 태양에서 1120만km 떨어진 곳에서 먼지 감소 현상을 발견해, 우주 먼지가 없는 구역이 존재할 수 있단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이는 태양의 높은 열로 먼지가 가스로 바뀐다는 가설을 뒷받침하지요.지금 태양에서 2400만km 떨어진 곳까지 다가간 파커 솔라 프로브는 앞으로 202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기술을 계속 연구해야 한다”며 “현재는 후속 로버 개발 계획이 없는 만큼 지금이라도 우주 탐사 로봇 개발 계획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고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3. 인간 돕는 웨어러블 로봇 ‘철컥, 척, 철컥, 척.’로봇이 움직이는 육중한 소리가 연구실 문밖까지 새어 나왔다. 202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면밀한 분석을 했고, 그 결과 1단의 이상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논란은 러시아 연방우주청의 발사체 담당 부청장이 러시아에 있는 한국 대사관을 방문해 직접 기술적 검토 내용을 설명하면서 겨우 일단락됐다. 지금은 그래도 의미 있는 추억이라고 회상하지만, 당시엔 많은 사람들의 간담을 ... ...
- [과학뉴스] ‘우주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우주에서 불꽃놀이 향연이 펼쳐졌어요. 위 그림은 독일 막스플랑크물리연구소 라즈믹 미르조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이 지난 1월 관측한 감마선* 폭발의 상상도예요. 지난 11월 20일, 연구팀은 이 감마선 폭발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미르조얀 교수팀은 스페인에 있는 전파망원경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인공 피부와 뼈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답니다.유럽우주국 토마소기디니 연구원은 “우주선은 무게를 줄여야 하고, 공간의 한계도 있어 모든 상황에 대비해서 의료품을 전부 다 가지고 갈 수 없다”며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서 인간의 장기를 출력하면 응급 상황에도 대비할 수 ... ...
- 태양계의 끝을 넘다! 보이저 2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치직…칙…, 아아, 휴스턴, 휴스턴, 혹시 제 신호가 잡히나요? 여긴 보이저 2호예요. 쌍둥이 보이저 1호와 함께 지구를 떠난 지도 어느덧 42년이 지났네요. 그동안 태양계 ... 행성 및 태양권 물리학 연구소 연구원),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미국항공우주국(NASA ... ...
- 보이저…미래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했죠. Q NASA의 연구자를 꿈꾸는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NASA에서는 우주 분야는 물론, 관측 장비와 로켓 개발, 미세먼지 같은 지구 환경 등 굉장히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한답니다. 꼭 천문학을 공부해야 하는 건 아니니, 여러분이 좋아하는 과학 분야를 공부하다 보면 NASA에서 일할 ... ...
- [과학뉴스] 태양계 탐사할 수중 로버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NASA)는 2025년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에 우주 탐사선을 보낼 계획이에요. 이후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도 탐험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요. 그래서 NASA는 남극 호주 케이시 연구기지 인근 바다에 수중 로버 ‘브루이(BRUIE)’를 실험 중이에요. 왜 바다에서 실험하냐고요? 유로파와 엔셀라두스는 10~19km에 ... ...
- 보이저…태양권을 벗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계면을 통과하여 성간 공간으로 들어갔다고 결론 내린 것이죠. 용어정리*성간 공간 : 우주 공간에서 별이 없는 공간.*AU : ‘천문 단위(astronomical unit)’의 약자로, 태양부터 지구까지의 거리인 1억 4960만km를 뜻하는 단위 ... ...
- 보이저…175년 만에 찾아온 기회를 붙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큰 태양의 중력도 이겨야만 하죠. 목성까지는 초속 26.7km의 추가 속력이 필요해요. 그래서 우주선의 자체 연료만 사용하면 외행성을 탐사하기 힘들어요.이를 극복할 방법은 다른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는 ‘스윙바이’예요. 탐사선이 행성 가까이 접근하면 행성의 중력에 끌려 들어가며 속력이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