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DPT(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백신은 피부에 바를 수 있는 크림형태로 만들고 있다. 유전자 조작 기술이 발달하며 과일이나 채소 속에 백신 성분을 넣는 방법도 개발 중이다.[플루미스트는 코에 뿌리기만 하면 접종이 끝난다. 특히 주사 바늘을 무서워 하는 아이들에게 인기가 많다.][어린시절 ...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고찰했다면 유전자의 발견자를 직접 만나는 과거 여행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타적 유전자’를 쓴 매트 리들리가 DNA 발견자 중 한 명의 일대기를 복원한 전기 ‘프랜시스 크릭-유전부호의 발견자(을유문화사)’가 새로 나왔다. 공동 발견자인 제임스 왓슨의 유명세에 눌려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많이 등장하는 용어지만 명확한 정의를 내릴 수 있는 학생은 많지 않다. 멘델유전학에서 유전자는 형질을 결정하는 요소지만 전사과정에서는 전사되는 mRNA의 주형 DNA와 상보적인(비주형 가닥) DNA가닥의 염기서열을 의미한다. 용어에 대한 명확한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복잡한 생명현상을 ... ...
- “돼지각막 2, 3년 뒤 영장류에 이식”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새끼 중에는 A와 B 유전자 모두 갖고 있는 것들이 생긴다. 이런 식으로 필요한 모든 유전자를 갖고 있는, 즉 거부반응이 거의 사라진 돼지를 태어나게 하는 것이다.“장기이식 하면 콩팥이나 심장을 이식하는 걸로만 생각해요. 물론 나중에는 그럴 수도 있지만 피부, 각막, 인슐린을 만드는 췌도 세포 ... ...
- 따로 사는 판다 부부과학동아 l2011년 08호
- 90.5%를 조사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판다를 직접 관찰하고, 판다가 남긴 털과 배설물의 유전자를 감식해 판다의 암수를 구분했다.이 결과 대왕판다는 암수 모두 좁은 고도 안에서 사는 것을 알아냈다. 판다는 대나무가 부족한 산의 정상부와 사람이 많이 다니는 낮은곳에는 살지 않아 산의 중턱,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있는 액포로 옮겨 세포질과 격리함으로써 식물이 중독되지 않고 자랄 수 있게 해 주는 유전자를 발견해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그는 “GFAJ-1도 액포를 크게 발달시켜 그 안에 비소를 격리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라)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는 지난해 12월 9일자에서 ...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암호와 같은 분자생물학 분야와, 제한효소와 리가아제의 발견에 의한 재조합 DNA의 합성, 유전자 치료와 같은 생명공학 분야를 깊게 다룬다. 이뿐 아니라 과학의 상업화, 특허 전쟁, 기술 독점과 같은 어두운 면도 언급한다. 생명과학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한 번쯤 ... ...
- 국립과학수사 연구원 사건의 진실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다른 전문가들이 일하는 건가요?법의학 분야는 법의학이나 병리학을 전공한 사람이, 유전자 분야는 생명과학, 생화학, 생물공학 등의 전문가가 일하고 있어요. 실제 사건 현장에 나가거나 증거를 분석하고, 때로는 시체를 부검하면서 중요한 단서들을 찾아내는 거지요. 그러려면 많은 연습이 ... ...
- 비슷한 종이 더 빨리 멸종한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린 지앙 교수는 컴퓨터로 10개의 가상 생물을 만든 뒤 각각의 생물에게 고유의 유전자가 있는 것처럼 계통수를 그렸다. 이때 생물은 번식 속도가 빠르고 여러 세대가 오랫동안 공존할 수 있는 원생생물을 모델로 했다. 그 뒤 165개의 가상 생태계를 만들어 이 안에 각각 1개 또는 2개의 가상 생물과 ...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특징”이라고 했다. 이렇게 생리활성이 있는 화학물질이 실제로 생물 내에서 어떤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지 밝히는 학문을 ‘화학유전체학’이라고 한다. 약학을 전공한 정 교수와 세포생물학을 전공한 윌리엄스 교수가 각 학문의 한계를 서로 보충하며 연구를 지도하고 있다.“화학물질의 작용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