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친구들이 있나요? 먼저 지사탐 가이드북을 꼭 읽어 주세요! 각 시기별 밀원식물이 잘 정리돼 있으니까요. 가이드북에 없더라도, 꽃을 피우고 있는 식물이라면 밀원식물일 가능성이 높아요. 길 가다가 만난 식물에 아름다운 꽃이 피어 있고, 주변에 꿀벌이 아니라도 곤충이 날아다닌다면 꼭 사진을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등을 관찰해 생물의 진화를 입증할 만한 단서를 찾지요. 다윈은 여러 관찰기록들을 정리해 를 출간했고, 몇 년 뒤에는 도 쓸 수 있었어요.그런데 이 비글호 항해 중 다윈이 중요하게 한 일이 있어요. 바로 먼지를 수집하는 일이었지요. 다윈은 종종 돛대 끝에 있는 풍향계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수학 개념도 많았고요. 같이 공부하던 사람들에게 이것저것 가르쳐 주다가, 그 내용을 정리해 라는 수학책도 썼어요. 중국의 근대 수학책인 의 내용과 기존 우리나라 수학책에는 다루지 않았던 서양의 수학 개념을 담기 위해 노력했답니다.25살에는 조선의 마지막 과거시험에 ... ...
- 초등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어떤 집단의 성질을 설명하기 위해 대푯값을 씁니다. 대푯값은 집단의 특징이나 경향을 수치로 나타냅니다. 대푯값에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 퍼즐 앞에서는 서로 당당하다. 피타고라스 퍼즐 수업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피타고라스 정리의 의미를 익힐 수 있다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속도를 매번 계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매 상황에서 요트가 낼 수 있는 유효 속도를 정리한 도표가 도움이 된다. 이 도표는 바다에서 바람과 돛이 이루는 각도를 0°부터 180°까지 10° 단위로, 바람의 세기를 1노트(초속약 0.5m)부터 20노트까지 1노트 단위로 구분했다. 그리고 바다에서 요트가 맞닥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있는 나라가 됐다.세계의 밤하늘을 담다김담은 칠정산외편에 밤하늘에 보이는 별 목록도 정리했다. 이 목록표에는 14세기 명나라에서 만든 명역천문서(名譯天文書)에 기록된 30개의 별보다 월등히 많은 277개 별의 위치와 밝기가 기록돼 있다. 특히 이후 중국과 일본에서 동일한 목록표가 편찬된 ...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9월 25일자에 밝혔다.생명의 나무는 모든 생명체의 진화계통을 정리한 표로, 지금까지 바이러스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종이 워낙 다양하고 유전자 변이가 잦아 염기서열을 토대로 계통발생분석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구스타보 교수팀은 쉽게 변하는 염기서열 대신, ... ...
- [생활] 뇌섹남들은 수학 문제를 푼다?! 뇌섹시대 문제적남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거기에 다시 석진이 결정적인 조합 하나를 더 찾아냈다. 마지막으로 장원이 깔끔하게 정리하면서 답을 이끌어냈다. 마치 축구 경기에서 선수들이 패스를 주고받다가 완벽한 득점까지 이어지는 명장면을 보는 것 같다.박 교수는 “실제로 많은 수학자들이 다양한 사람과 협동해 연구하고 있다”며 ...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아니며 그래도 괜찮다고 여기는 태도를 가진다. 그리고 실패에도 일희일비하지 않는다.정리하면, 자존감이 낮아서 생긴다고 생각했던 문제들이 어쩌면 자존감의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자신의 삶에 지나치게 높은 기준을 설정한 것은 아닌지, 내 삶을 정말로 즐겁게 하는 재미 요소들이 주변에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잇는 선분을 t:(1-t)로 나누는 내분점이다. 두내분점을 차례대로 M과 N이라 두고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P(t)=(1-t)M+tN, 0≤t≤1두 내분점 M과 N을 잇는 선분을 t:(1-t)로 나눈 점이 P(t)이며, t가 0에서 1까지 움직이면서 포물선이 그려진다.이 식에서 이용되는 세 개의 점을 ‘조절점’이라고 한다. 양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