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솟는 고드름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얼음 한복판에 솟은 고드름이라. 고드름은 처마 같은데 매달려 땅을 향하고 있어야
정상
인데 희한하군요….”닥터고글의 말에 더욱 의기양양해진 도무지 군. 더욱 소리 높여 외치기 시작한다.“학교에서 가르치듯이 중력이 지구 중심을 향하고 있다면 어떻게 이런 역고드름이 생길 수 있어요?이건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발버둥치다가 우연히 섬을 찾아 살아난다. 10분 이내에 같은 실험을 반복하면
정상
적인 쥐는 투명한 섬이라 잘 보이지 않지만 상대적 위치를 기억해 곧바로 섬을 찾아간다(모리스 수조 실험). 이 행동을 반복할수록 섬을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진다. 연구팀이 만든 칩을 장착한 쥐도 보통 쥐와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실제로 비만을 일으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상
무균생쥐에 비만생쥐의 장내공생세균과
정상
생쥐의 장내공생세균을 각각 넣었다. 그 결과 비만생쥐의 장내공생세균을 받은 생쥐 역시 뚱뚱해졌다.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비만은 장내 공생세균들의 구성, 즉 펄미큐티스균 증가와 박테로이데균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初心)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단백질의 구조부터 차근차근 연구하다보면 언젠가는 비
정상
적으로 성장해 암으로 돌변하는 ‘세포의 반란’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다. Interview 조윤제 단장단백질 설계도 그리는 과학계 ‘다빈치’인간의 17번 염색체에 위치한 p53 유전자는 종양억제유전자로 잘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어나는 혼수 혼수상태에서는 혈당값(血精値)이 비
정상
적으로 높아지고, 오줌에 아세톤 · 아세트산 등 지방대사의 중간산물이 배설되며 혈액의 pH는 산성이 된다 용질 1g 당량을 함유하는 용액의 부피와, 그 용액의 고유 전기전도도의 곱 줄여서 당량전도도라고도 한다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만일 젖은 경우 즉시 수리를 맡긴다. 설사 마른 뒤에도 회로에 남은 찌꺼기로 인해 비
정상
적으로 전류가 흐르고 전압이 가해질 수 있다.Tip3꼭 정품 충전기와 교류 어댑터를 쓴다. 규격에 맞지 않거나 불량 장치를 쓸 경우 지나치게 높은 전류가 흐르거나 전압이 걸릴 수 있다.Tip4배터리를 ... ...
epilogue 신체능력격차시대 올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시력이 0.1에 불과해 먼 곳을 못 보던 사람을 ‘칼집’ 한 번으로 15분 만에 간단히 1.0의
정상
시력으로 돌려주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미 ‘은하철도999’를 타고 안드로메다로 가는 중인지도 모른다.문제는 안드로메다에서 살기 위해선 ‘생활비’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사고를 당한 뒤 전신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표적을 발굴하는 연구를 시작했고 2004년 바이오벤처 CGK를 세웠다. 예를 들어 어떤 약물이
정상
세포는 건드리지 않고 암세포만 표적으로 삼는다면 부작용이 없는 항암제의 유력한 후보가 될 수 있다.2005년 김 교수팀은 마침내 기발한 아이디어로 신약후보 물질을 걸러내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 ...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움직임과 수축도, 관절의 회전각도 등의 정보를 전달하면 블루투스 무선통신으로 의족도
정상
다리처럼 움직인다. 파워니를 세계 최초로 시술받은 사람은 전 미 육군 특수부대원인 빌 던햄 씨다. 그는 1989년 파나마에서 임무 수행 중에 오른쪽 다리를 잃었다. 하지만 그는 현재 골프, 항해, 소형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 손상될 경우 구역질반사가 일어나지 않아 의사는 이 검사를 통해 후두덮개 기능이
정상
인지 판단한다. 뇌가 손상된 환자는 후두덮개의 움직임이 불완전해 입으로 음식을 먹기 힘들다.이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쟝 도미니크 보비가 혀를 움직이기 전까지 코에 플라스틱 관을 꽂아 식사를 해야 하는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