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1. 가물치 크기의 슈퍼미꾸라지 해양식량난 대안, '프랑켄피쉬' 비판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요구된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인간과 환경 모두에게 안전한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
한다.지난 6월초 우리나라에선 유전자변형 동물 안전성에 관한 지침을 마련했다. 시민단체와 생명공학자 등 각계의 대표로 구성된 생명윤리자문위원회가 제시한 생명윤리기본법이 바로 그것이다.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강박증 환자들은 그것을 잘못 해석하고 평가하는 바람에 과도한 책임감을 느끼게 된다고
지적
했다. 수십번씩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강박증 환자에게 “무엇이 두려워서 그렇게 확인하는 거죠?”라고 물어보면 “확인을 안하면 실제로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다”고 말한다.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오른손이 선호되는 손이었음을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좌측 뇌는 논리력과 기억력 등
지적
능력을 담당하는 반면, 우측 뇌는 직관력과 예술적 감각 등 감성적 능력을 처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신체 부위 중 오른쪽은 좌측 뇌가, 왼쪽은 우측 뇌가 관장하기 때문에 청동기인들은 좀더 ... ...
2. 성인 몸에서 세포공장 찾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달리 성체줄기세포는 어느 정도 분화되는 방향이 정해져 있다. 흔히 이 사실을 단점으로
지적
하지만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즉 타원형의 럭비공을 땅에 튀기면 그 럭비공이 어디로 튈지 예측하기가 곤란하다. 마찬가지로 배아줄기세포의 경우에는 어느 방향으로 분화될지 모르기 때문에 그 분화조절 ... ...
누구나 주인인 또다른 정보의 바다 넌 인터넷 하니? 난 위키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곳곳의 위키 사이트를 탐방하고 실험해보려는 분들께서는 나의 행동이 수백 수천명의
지적
결정체에 곧바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시길 바란다.연습을 해볼 요량이라면 대부분의 위키사이트가 갖춰놓은‘모래상자’(아이들이 맘대로 모래성을 만들고 부숴버리고 할 수 있는 ... ...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기자는 ‘이번 월식이 마침 보름달 때 일어나서…’ 같이 보도를 했다가 독자들에게
지적
받은 일도 있었다. 월식은 초승달 때나 반달 때 일어날 수가 없다는 사실은 월식의 원리를 생각해보면 금방 깨달을 수 있다. 이번호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북두칠성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돈다는 유용한 지식도 ... ...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생명 연장이나 인간의 중요한 질병과 관련돼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라고
지적
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기능이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생명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얘기다. 이에 대한 연구가 성숙되지 않은 단계에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가 섞인 아기는 생각보다 적지 ... ...
마라톤의 달콤한 중독 러너스 하이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적어도 중정도 이상 격렬해야 하며 운동 시간은 적어도 30분 이상 지속돼야 한다고
지적
한다. 또한 30분 이상 운동을 하면 그제야 가벼운 운동 하이를 느끼기 시작한다고 적고 있다. 다른 연구에서는 낮은 강도와 짧은 시간의 운동이 기분을 좋게 하고 불안감과 우울증을 감소시키지만, 최상의 ... ...
거울 보는 돌고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 있는 작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지금까지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간을 제외하고는
지적
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유인원류, 즉 침팬지나 오랑우탄만이 거울에 비친 스스로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다 ... ...
미래 노벨상 수상자 발굴하는 연구대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결과를 간단히 발표한다. 그러면 B팀의 학생이 A팀 발표의 약점과 불분명함, 오류 등을
지적
한다. 이 과정을 C팀은 내내 지켜본다. 이후 A팀과 B팀이 논쟁을 마치면 C팀은 두팀의 설명에 대해 논평을 한다.이런 방식으로 팀의 역할을 바꿔가며 3회전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청중이 직접 질문하고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