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d라이브러리
"
학계
"(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역사를 지키지 못해 일본이 그 기록을 고쳐 아전인수로 이용한 것처럼 지금도 우리
학계
는 이 비에 가까이 접근하여 정확한 내용을 해석하지 못하고 있음이 안타까울 뿐이다.고구려의 제2도읍 국내성(国內城) 자리에는 길림성중요문화재라고 쓴 콘크리트 간판이 초라하게 서있다. 주변에는 민가가 ... ...
노쇠현상의 주된 원인의 하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될때 심해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누적되는 손상이 노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것 같다고 발표,
학계
의 주목을 끌었다.미토콘드리아는 세포핵이외에 유일하게 DNA가 존재하는 곳이다.그런데 미토콘드리아 DNA는 전체세포의 적절한 기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칠뿐 아니라 손상에 대해 매우 취약한 성질을 갖고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창립되어 12개학부 40개 학과 9개 연구소가 있다(이외에도 통신학부에 14개 학과). 이중 과
학계
학과는 수학과를 위시해 19개 학과.평양이과대학은 1967년 창설된 엘리트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특수대학. 핵물리학 화학 수학 생물학 전자공학의 5개 학부로 편성된 이 대학은 과학원 직속대학으로 과학원 ... ...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않았나 생각된다.비록 우리의 지난날은 그렇다할지라도 이제는 우리의 정보산업계 및
학계
도 본격적인 한글관련 연구를 시작할 때라고 생각한다. 지난 20년간 국내에서의 컴퓨터관련연구는 수출증대 수입체효과 등의 기업형 연구에 치중한 것이 사실이다.즉 하드웨어는 외국기종과 호환성 있는 ... ...
92년에 국산실험위성 우주진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환경이 되어가고 있다.우리나라의 우주관련분야 연구는 그 역사가 아주 짧다. 관련
학계
와 연구소에서 소규모의 기초연구를 해온 정도다. 최근에 와서야 한국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우주기술분야가 국책연구과제로 선정되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요 골자는 앞으로 각종 인공위성의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사라져버렸다. 이것은 귀중한 인류문화유산의 분실이 아닐 수 없다. 멕시코정부와 관련
학계
에서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발굴·복원사업이 성공리에 이루어지면 인류의 문화유산은 그만큼 풍요하여질 것이다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확인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위험성과 경제성최근 공해추방운동연합은 정계
학계
종교인 언론인 여성계 등 저명인사 1백명을 대상으로 원전에 관한 의식조사를 한 일이 있다. 여기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경향은 정치적 입장에 따라 원전을 보는 눈이 확연하게 갈라진다는 점이다. 즉 일반적으로 ... ...
천문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일이었다.17세기 한국의 혼천시계(渾天時計). 서울의 천문시계세계의 과학기술사
학계
에서 이젠 널리 쓰이고 있는 이 천문시계의 학문적 이름이 정착되기까지의 사연은 마치 우리의 전통과학이 겪은 발자취를 압축한 것과도 같다.그만큼 어려웠다는 얘기다.●―임진란 후 일시 끊겨'세종실록' 제 6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구축과 소프트웨어의 개발등 설계환경의 구축은 반도체 회사나 정부, 그리고
학계
모두 힘을 모아서 경쟁이 아니라 협력의 차원에서 공동으로 노력할 필요성이 있는 분야라 생각한다.한편 응용기술의 경우는 설계환경의 구축과는 반대로 독창적인 개성이 요구되고 경쟁이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 ...
거의 원형 그대로의 공룡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52개가 박혀 있다.이 화석의 이름은 '쿤밍'(昆明)공룡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세계 고생물
학계
에서는 이 화석의 발견은 근년에 있었던 발굴작업중 가장 큰 수확이며 도마뱀→날도마뱀→새의 진화과정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