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크린
비데오
텔레비전
비디오
영사막
모니터
화상
d라이브러리
"
화면
"(으)로 총 1,92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저장돼 있는 내용을 사람이 알아볼 수 있도록 숫자가 글자의 모양으로 바뀌어 컴퓨터
화면
에 나타나는 것이다.컴퓨터용 문자코드는 컴퓨터에서 어떤 문자가 어떤 숫자로 나타내지는가에 대한 규약이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SCII 규약에 의하면 컴퓨터에서는 ‘A’를 ‘65’라는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별이 반짝인다.
화면
4-5. 깜빡이는 순서대로 마우스를 누르면 별들이 선으로 연결된다.
화면
4-6. 별들을 선으로 완성시키면 염소가 나타난다. 아~이게 염소자리구나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제외한 대다수의 프로그래머는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읽어서 처리한 결과를
화면
위에 보여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때 정렬은 무척 중요한 개념이다. 자료를 마구잡이식으로 볼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형태대로 자료가 정렬되기를 원한다. 2바이트를 고려하지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적절하게 대비하지 못하면 그라프와 셀레스의 테니스시합을 시청하는 도중 갑자기 TV
화면
이 '치지직' 거리는 낭패를 당할 수 있다.그러나 태양활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면 플레어 때문에 생긴 하전입자들이 지구에 도달하기 몇시간 전에 미리 예측할 수 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폭발 장면은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수 있기 때문이다.얼마전 TV에서 연구원들이 등장하는 CF를 보았다. 그들이 등장할 때마다
화면
엔 해외 유명 대학의 이름이 찍혀나왔다. 그 광고가 아직까지도 해외 학위를 국내 학위보다 더 인정해주는 현실의 상황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이 개운치 않았다. 그러나 언젠가는 해외 CF에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자체가 매우 흥미로운 것이어서 SF영화에 자주 등장한다. 영화에 좀 더 사실적인 내용과
화면
을 만들기 위해 UFO를 목격한 사람들의 체험담이나 에피소드를 인용하는 경우도 많다.스티븐 스필버그가 ‘꿈의 프로젝트’ 라고 부를만큼 심혈을 기울여 만든 ‘미지와의 조우’ (Close Encounters of the Third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결책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동안 가장 적게 잡힌 팀이 승리를 한다.도망자게임이 끝나면 먹이사슬게임으로서 컴퓨터
화면
상에는 3개의 팀이 서로 잡히고 잡는, 도망자와 추적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알고리즘을 만든다. 이 게임도 제한된 시간 동안 잡힌 횟수가 결과로 나타난다.이 게임에서 잘 도망치고 상대방을 잘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맞지 않아 채택하기 어렵다고.문자서비스를 받으려면 메시지가 나타나는 액정
화면
의 크기가 숫자나 영문만 나타나는 것보다 커야 한다. 그래서 한문이나 아랍어를 수신 가능한 호출기는 우리가 사용하는 것보다 약간 크다.미래형 삐삐쌍방향 · 소리형· · ·앞으로는 일방 통행이 아닌 서로 간단한 ... ...
3. '법없는 세상' 자율통제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펼쳐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때로는 악의적 비난의 글이 오르며 욕설로 채워진 글들이
화면
을 장식하기도 한다.얼마 전 국내 모 인터넷 교육기관에서 초보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교육을 실시한 적이 있다.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 적이 있다. 여러 가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작은 거물급 슈퍼스타를 연상시킨다. (사진4)의 오른쪽에 나타난 이 별은 GL 105A(
화면
을 채우고 있는 밝은 별)의 동반별로, 고래자리 방향으로 27광년 떨어져 있다. 천문학자들이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GL 105C라고 불리는 이 왜성은 GL 105A보다 2만5천배 어둡다. 만일 GL 105C가 태양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면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