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언론에 나가면 이 박사도 한국에서 유명해질 것”이라며 농담을 건네기도 했다. 지난해 1
0
월호 과학동아에 한 번 소개되고 끝났을 사진이 헨더슨 박사의 노벨상 수상으로 한 번 더 실리게 됐으니 그의 말이 어느 정도는 사실이 된 셈이다. 덕분에 기자도 노벨상 수상자를 1년 일찍 만났다는 흐뭇한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g으로 극소량인 만큼 자칫 인간의 향료 욕심에 동물이 멸종될 수 있다. 그래서 이미 197
0
년대부터 사향노루와 사향고향이 등 동물에서 향료를 채집하는 일은 야생동물보호법으로 금지돼 있다. 그 대신 전문가들은 화학적으로 분자를 합성해 인공 향을 만들어 향수에 넣는다. 천연 향료에 들어 있는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생존합니다. 그 기간은 생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개구리의 경우 12회, 제브라피시는 1
0
회, 쥐의 경우 1회의 세포분열을 하는 동안 난자에게 신세를 집니다. 본래 난자 안에 저장돼 있는 RNA는 일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RNA의 꼬리 부분에 특정 단백질이 붙어서 RNA가 단백질로 번역되는 것을 막고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원주민 마을의 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밀도를 알면 물질을 구별할 수 있어요.물의 밀도는 4℃에서 1g/cm3인 반면, 기름은 약
0
.8g/cm3랍니다. 그래서 밀도가 큰 물은 아래로 가라앉고, 물보다 밀도가 작은 기름은 물 위에 뜨는 거예요. 물 위에 있는 기름을 걷어내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지요.하지만 2
00
7년 태안에서 ‘허베이 스피릿 ... ...
[과학뉴스] 제주도 바닷가 신종미생물에서 항생제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해양수산부는 제주 해안에서 채집한 신종 해양미생물에서 유용한 항생제 물질을 발견했다고 9월 11일 밝혔다. 최그레이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선임연구원과 최혁재 영남 ... 신종 해양미생물에서 가치가 높은 항생제 물질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doi:1
0
.1
0
99/ijsem.
0
.
00
212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1
0
m 높이의 둑을 쌓아 진흙이 농경지 및 마을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있다. 앞으로도 최장 3
0
년 동안 지속적으로 진흙이 유출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동해 지역 6광구 시추 도중 가스 유출에 따른 폭발사고가 일어나 국내 시추선인 두성호가 긴급 대피한 사례가 있다. 그보다는 ... ...
[에디터 노트] 셀링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태도와 새롭고 잘 팔리는 뉴스거리를 쫓는 언론의 속성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3
0
년 전 그 비판은 지금 우리에게 여전히 아프게 다가온다. 우리 역시 과학기술계가 던져주는 장밋빛 미래만 무작정 쫓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이번 호 ‘과학동아’는 과학언론의 기본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셈이다. 이 연구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
0
12년 7월 6일자에 실렸다(doi:1
0
.1
0
38/srep
00
496). 토도프 박사는 사람들이 칼슘맛에 묘하게 끌리면서도 쓰다고 불쾌해하는 이유에 대해 “칼슘은 세포 간 신호 전달이나 뼈 성장 등 우리 몸에서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신장 결석이나 심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
0
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작은 분자와 나트륨, 칼륨 등 이온만 빠져나갈 수 있을 만큼 구멍이 작다. 지름이 1
00
nm 수준이다. 또 사구체를 둘러싼 기저막이 음전하를 띠고 있어 음전하를 띤 단백질은 모세혈관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한다. 서 연구원은 “혈류가 느린 모세혈관에서는 혈액이 응고해 혈전이 생기기 쉽다”면서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유리수는 1/2, 3/4와 같은 분수도 포함하고 있어서 자연수보다 그 개수가 많아 보인다.
0
과 1 사이에 있는 유리수만 해도 무한히 많다. 하지만 유리수를 세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유리수도 호텔에 묵을 수 있다. 그 방법은 여러 가지인데 그 중 하나는 오른쪽 도식과 같다. 자연수와 유리수의 개수를 ... ...
이전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다음
공지사항